잡초는 아내와 함께 밭농사 짓던 체험이 바탕이 돼 쓰였다. 농사가 처음인 데다가, 동화의 한 장면처럼 우거진 숲속 밭이라 충분히 소설 감이 된다고 무심은 판단했다. 일주일 남짓해 소설을 완성했으니 비교적 수월하게 쓰인 셈이다. 그런데 소설이 발표된 뒤 생각지도 못한 부작용이 생겼다. 아내가 작품 속의 아내와 동일시되면서 주위 분들한테부동산투기에 혈안이 된 복부인으로 오해받게 된 것이다. 이 자리를 빌려 해명하건데 절대 무심의 아내는 복부인이 아니다. 정확하게 표현한다면복부인이 못 된다.’

워낙 성격이 무심한 탓에 무심이란 호를 갖게 된 남편과 달리, 세상일에 유심한 아내이기는 하나 부동산 투기 같은 재테크보다는 집안 살림 밭농사 성당봉사활동 같은 건전한 부문에 열의를 보이고 있다.

굳이 무심의 소설들 중에서 아내의 실제 모습에 가까운 여성을 고른다면외출에 등장하는 아내일 것 같다.

 

한 편의 소설은 반드시 작가의 상상력을 전제로 한다. 무심의 경우, 티베트의 천장을 소재로 한라싸로 가는 길100% 상상으로 쓰였다. ‘시신을 새들에게 먹이로 주는 천장 풍습이 티베트에 있다는 사실에 흥미를 느껴 관련 자료들을 수집한 뒤 상상력을 발휘해 쓴 것이다. 월남전에서 중상을 입고 제대한 사내를 소재로 한숨죽이는 갈대밭또한 80% 이상 상상력의 소산이다. 그 소설을 쓸 때 무심은 월남은커녕 제주도에도 가 본 적이 없는 대학교 4학년생이었는데문학의 밤 행사에 발표할 꽁트를 하나 준비해 달라는 후배들의 부탁에 며칠을 고민하다가어느 날 밤갈대밭 초원 앞에 카빈총을 지팡이 삼아 서 있는 사내를 상상하며 밤새워 꽁트가 아닌 단편소설로 완성한 것이다. 100% 상상력의 소산이라 하지 않고 80% 이상이라 한 까닭은 소설의 배경인깊은 산속 분교는 실제이기 때문이다. 지금은 유명작가가 된 *** 선배와, 그 소설을 쓰기 전 해인 1972년 늦가을 일주일 남짓 그런 분교에서 함께 생활한 적이 있었다. 대학가에 갑자기 휴교령이 내려져 기약 없이 놀며 지내야 했던 시기다.

잡초의 경우는 상상력이 10% 정도 보태져 마무리되지 않았을까. 아내라는 인물을 있는 그대로 순하고 평범한 주부로 그려서는 작품 맛이 날 것 같지 않았다. 생각 끝에 아내를부동산 투기에 혈안이 돼 있는 복부인여자로 만들어 놓자순수한 농토마저 부동산 광풍에 휘말리는 이 시대의 폐단이 선명해졌다.

 

작가에게 현실은 창작의 재료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만일 작가가 상상력 하나 보태지 않고 현실 체험대로만 글을 쓴다면 그건 소설이 아니라 다큐멘터리나 수필이다.

여기서숨죽이는 갈대밭에 얽힌 일화 한 가지를 공개한다.

이 작품을 썩히기 아까워 세월이 몇 십 년 지났지만 세상에 제대로 공개하기로 마음먹었는데 문제는 빛바랜 문학회지에 활자로 인쇄된 것들을 어떻게 워드로 쳐 바꿔 놓느냐였다. 창작하는 일과 달리 그런 기계적인 일은 생각만 해도 끔찍했다. 궁리 끝에 대학생인 아들을 불러 부탁했다.

아빠가 대학 시절에 문학회지에 발표한 작품이 있는데, 워드로 쳐 다오. 그럼 용돈을 줄 게.”

아들이 용돈 욕심에 숨죽이는 갈대밭을 워드로 쳐나가다가, 자기도 모르게 스토리에 이끌려 호흡이 가빠지더니 워드를 다 치고 나자 소리쳤다.

아빠가 대학시절에 이렇게 소설을 잘 썼다니!”

그러더니 이런 소리도 했다.

이 소설에 나오는 경자말이야, 우리 엄마 아닌가?”

어이가 없었다. 무심이 아내를 맞선자리에서 처음 대면한 때는 198358일이다. (그 사흘 전 어린이날, 중공민항기가 춘천의 미군비행장에 불시착했다. 우리는 하필 중공민항기 직원들이 커피 마시며 쉬었다는 모 커피숍에서 대면했다.) 10년 전인 19735월에 쓴 소설의경자가 아내의 모델일 수가 없는 이유이다. 아들이 그런 말을 하고는 낄낄낄 웃었다. 아빠랑 함께 웃고자 한 말인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