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가 독백했다.

내가 폐인이 됐구나!”

정말 오랜만에 자신도 모르게 불쑥 입에서 되살아난 단어 폐인이다. 햇수를 꼽아보았다. 장장 17년만이었다.

 

17년 전인 2000, 교직사회에 명퇴 바람이 휘몰아쳤을 때다. 어언 50 나이가 됐는데 교감으로 승진할 꿈 없이 그냥 늙은 평교사들로 한 학교에서 만난 K와 친구 J.

사범대학 시절 친하게 보낸 사이였으므로 해후의 감회가 만만치 않을 듯싶었지만 실제로는 무기력에 빠져명퇴할까, 말까를 저울질하는 늙은 평교사들일 뿐이었다. 휘몰아치는 명퇴 바람 속에서 승진 점수를 잘 관리해 온 동기들이 부지런히 교감자리로 승진해 가는 분위기라 그럴까, K와 친구 J의 무기력감과 명퇴신청 여부 고민은 날로 깊어갔다.

그 때 둘은 교무실이나 복도에서 만나기만 하면 폐인소리를 하였다.

우리 폐인 다 됐어!”

그러게 말이야. 허허.”

퇴근길에 폐인들끼리 한 잔 할까?”

그럴까? 허허.”

그럴 때 교정의 늦가을 풍경. 노란 색이 돼 떨어지는 은행잎들조차 아름답기보다 처량 감을 더했다. 퇴근 후 K와 친구 J는 단골 생맥주 집으로 가, 밤늦도록 어느덧 교직 폐인이 된 자신들의 처지를 안주 삼아 술잔을 주고받았다.

 

2000년에서 17년이 지난 올봄 어느 날 K술을 한 잔이라도 마셔서는 안 되는처지가 된 것이다. 병원에서 젊은 의사가 냉정하게 경고했다.

절대, 술을 마셔서는 안 됩니다. 만일 어긴다면 병이 만성이 되면서 걷잡기 힘들게 됩니다.”

노환(老患)K는 아픈 주사를 맞고서, 처방받은 대로 약국에 들러 내복약 한 달 치를 사 들고 귀가했다. 해가 졌다. K는 늘 하던 대로 밤거리 산책에 나섰다. 거리의 식당마다 술집마다 흥겹게 술잔들을 기울이며 하루의 피로를 씻는 주객들 모습.

K는 순간 깨달았다. 17년 전 친구 J와 만나기만 하면 폐인소리를 입에 올리곤 했는데 그 때만 해도 낭만이고 행복이었음을. 최소한 술잔은 기울이며 하는 소리가 아니었던가.

술 한 잔도 안 되는 지금이야말로 진짜 폐인인 것을. 아아 그리운 17년 전, 친구 J와의 그 시절. 그런데 참, 친구 J는 지금 이 시간 뭐할까? 오랜만에 전화해 볼까. 지금도 만나면 허허웃겠지. ……그런데 전화 걸면 뭐하나. 술 한 잔도 마실 수 없는데 말이야.

폐인 K는 깊은 한숨을 내쉬며 어두운 밤거리에 서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