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경, 나는 동해안의 양양고등학교 교사였다. 어머니가 춘천의 살림들을 정리한 뒤 동생들과 함께 양양으로 내려와 내 뒷바라지를 겸해서 함께 살았다. 강원도에서는 대도시라 할 춘천에서 살다가, 좁은 시골 양양에 내려와 살자니 어머니는 말벗할 분들이 아쉬웠다. 그 때 어머니의 말벗이 된 할머니 한 분이 있었다. 당시 그분 나이 여든쯤 됐는데 뜻밖에 아주 유식한 분이었다. ‘왜정 때 이화학당을 다녔다고 했다. 그분이 3·1절이 가까운 2월말의 어느 날 어머니와 이런저런 말씀을 나누다가 이랬다.

 

관순이가 학교 다닐 때도 성질이 괄괄했지. 그러니 순사들한테 기죽지 않고 대든 거지.”

우연히 옆에서 그 얘기를 듣게 된 나는 놀라서 그분한테 되물었다.

할머니. 관순이라니, 유관순을 말하시는 겁니까?”

그분이 미소 지으며 말했다.

그럼. 유관순이가 내 일 년 후배였어.”

 

 

돌이켜보면 그 해 1978년은, 19193·1만세 운동이 터진 해에서부터 채 60년이 안 된 해였다. 여든 나이 그분에게 19193·1만세 운동은 한창 나이 스무 살 즈음의 생생한 사건이었다. 유관순 열사 사건을 흘러간 역사의 한 부분인 듯 여기고 있었지만 사실 얼마 지나지 않은 사건이었던 거다.

어르신들이 흔히 말하는왜정 때 말이야.’할 때의 왜정 때 역시 그리 먼 시대가 아니었다. 나라를 왜놈들에게 팔아넘기는 데 앞장선 을사오적들 얘기 또한 그리 먼 데 일이 아니다. 그들의 손자들이 자기 할아버지의 땅을 되찾겠다며 지금도 여기저기 오가고들 있다지 않는가. 수치스런 역사 또한 이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