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내 잠자리 베개 맡엔 Miconos 항구의 그림이

언제나 열려 있다.

 

술 취한 밤이면 Miconos

붉은 반란을 내다보고

술 깬 아침이면 滿船을 펼치는 갈매기들……

 

나의 갈매기들이여

너희는 얼마큼 나는가

태양이 빠진 Miconos 바다 위로

얼마나 날아가는가.

    

 

         2

 

주민등록증을 받고 돌아오는 저녁

이마 위로 떨어진 갈매기 한 마리

 

돌아올 수 없는 나의 船舶을 통지해 주었다

 

아아

빗장을 걸고 얼굴을 잡으려 했으나

거울엔 鍍金만이 있을 뿐 아무 것도 없었다

 

없었다

 

재발급 받은 것은 기억이었다 빗장 걸린 현주소

구겨진 항구, 本籍이여

 

닷새를 술에 적신 날

나는 Miconos 항구로 기어나갔다

 

캄캄한 밤이

碇泊해 있었다

 

*작가의 말

 

 

 이 시는 대학 4학년 때인 19736월경에 썼다.   

 

문학회 회원들 중 시를 쓰는 후배들이, 춘천 시내 한복판에 있는남강이란 지하 다방에서 시화전을 계획했는데 그 때 내게 형님, 시 한 편만 써 봐요.’부탁하여…… 밤새워 나온 작품이다. 소설 숨죽이는 갈대밭이나 승냥이처럼 하룻밤에 쓰인 것이다. 지금은 체력이 달려 엄두조차 못 내지만 대학시절만 해도 그런 일이 가능했다.

이 시를 쓸 때 내 방 한 쪽 벽에 붙어있는 그리스 Miconos 의 사진을 보며 시작(始作)했다. ‘아아같은 탄식이 등장하는 등 어설픈 면모가 역력하지만 당시의 쓸쓸하고 참담한 심정이 나름대로 잘 표현됐다고 믿고 싶다.

 

시화전 첫날 국어과유병석교수님도 다녀갔다. 그분은 문학 평론가였는데 다방 벽에 걸린 시들을 쭉 보다가 걸음을 멈추더니 한 마디 했다.

이 시가 제일 좋다.”

바로 내 시‘Miconos 이었다. 사실 그분은 개인적으로는 나를 그다지 좋게 보지 않았다. 강의를 성실하게 듣는 모범학생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내가 얼마나 버릇없는 학생이었는지 그분이 있는 회식자리에서 이런 말을 한 적도 있다.

여하튼 (나한테) 학점 안 좋게 주는 교수들은 각오해야 할 거야. 그냥 두지 않을 테니까!”

술기운을 빌려 한 말이었지만 얼마나 버릇없는 학생이었을까. 그런데 그분 역시 만만치 않았다. 떠들썩한 술자리니 못 들은 척 넘어갈 수도 있었건만 이렇게 답했다.

그래? 그것도 참! 조심해야겠네.(쓴웃음)”

내 젊은 시절의 만용에 대해 후회가 많다. 유병석 교수님에 대한 얘기만으로도, 나는 소설 한 편을 쓸 수 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쓸 것이다. 물론 그분은 오래 전에 돌아가셨다.

43년 만에, 먼지 덮인 박스 안에서 이 시 ‘Miconos 을 찾아내곤 지금 관점에서는 미흡해 보이지만 여하튼 햇빛을 받게 해야겠다는 결심을 했다.

Miconos 항은 세계적인 관광국(觀光國) 그리스의 아름다운 항구 중 하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