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반을 맡았다는 책임감 때문이었을까? 담임선생은 월말고사라든가 중간고사 등의 성적이 나오는 대로 석차 순으로 우리를 앉힘으로써 치열한 성적 경쟁을 유도했다. 그러니 우리 반 교실에 들어서면 누가 일등이고 누가 꼴찌인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었다. 정말 잔인한 구조였다. 춘천 지역만 아니라 도내 각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1,2등을 다투던 아이들인데 특수반이라는 초() 경쟁학급에 편성됨으로써 정신적 고통을 감수해야 했다.

돌이켜보면 그런 비정상적인 학급 편성 또한 당시의 시대상과 연관이 돼 있었다. 1964년은 5·16이 난 지 3년밖에 안 되는 해로써 군사문화가 사회 곳곳에 자리 잡던 때였기 때문이다.

친구와 같은 특수반이었음에도 그리 친하게 지낸 기억이 없는 까닭은 그 때문이 아닐까? 친구는 어떠했는지 모르지만 나는 쉬는 시간 10분에도 시험공부를 했던 것 같다. 종이에 암기해야 할 국사 내용들을 깨알같이 적어 수시로 들여다보며 나름대로 월말고사나 중간고사를 대비했던 기억이다. 그 반의 구성원들은, 요즈음에 유행하는 말을 인용해서 표현한다면. 흙수저와 금수저가 반반씩 있었던 듯싶다. 아버지가 의사라든가 회사 사장이라든가 하는 잘사는 애들과, 아버지가 실직 상태인 못사는 집 애들이 반반쯤 되지 않았을까?

그 친구와 나는 후자에 속하는데 그 즈음 우리 아버지들은 주로 다방에서 소일하다가 귀가하는 생활 모습이었다. 세월이 많이 흐른 요즈음이야 다방이 사양업종이 돼 찾아보기 힘들지만 당시에는 시내 곳곳에 다방이 있었다. 다방마다 실업가가 아닌 실업자들이 하루 종일 죽치고 앉아 있었다. 물론 나는 어린 나이라서 다방이란 데를 출입할 자격이 못 됐지만, 어쩌다가 아버지를 급히 찾을 일이 생기면 그 다방이란 데를 찾아가야 했으므로 그런 풍경이 눈에 선한 것이다. 그 시절 춘천의 유명한 다방이 예맥이었다. 중앙로 로터리 부근에 있었는데 아마 80년대 들어와 사라진 듯싶다.

 

나는 부속국민학교를, 친구는 이웃한 봉의국민학교를 다녔다. 두 학교는 작은 야산을 가운데 두고 이웃해 있었지만 사이는 좋지 못했다. 부속국민학교는 잘사는 집 애들이 다니는데 봉의국민학교는 그렇지 못한 애들이 다닌다는 게 그 원인이었던 것 같다. 가끔씩 그 야산을 전장 터로 삼아 돌싸움이 벌어지곤 했다.

나는 부속국민학교에 입학할 때는 꽤 잘사는 집 아들이었지만 2학년 때부터는 집안이 망하면서 못사는 집 아들이 돼 있었다. 부속국민학교 어린이라면 하얀 방울이 달린 모자에 교복까지 입어야 했다. 나는 그런 모자와 교복 차림으로 등하교를 하고는 있었지만 아침에 멀건 죽 한 그릇밖에 못 먹은 탓에 늘 어지러웠다. 겉만 잘사는 집 아이처럼 보였을 뿐 실상은 배고파 쓰러지기 일 보 전의, 딱한 어린이였던 거다.

그래도 아버지는 당신의 아들이 금수저가 다닌다는 부속국민학교 어린이라는 사실을 자랑하고 싶었던 듯싶다.

더운 여름 어느 날 나를 데리고 공지천의 한 하꼬방 앞으로 갔을 때 분명 친구 아버지한테 이렇게 묻지 않았을까?

우리 아들은 부속국민학교를 다니는데 자네 아들은 어느 국민학교를 다니나?”

봉의국민학교를 다니지.”

아버지들 간에 그런 대화가 있지 않고서야, 몇 년 뒤 춘천중학교 같은 반에서 그 친구를 본 순간 쟤는 봉의국민학교 출신이지하는 인지가 내게 이뤄질 수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