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복 차림으로 직장에서 일하는 청년들이 있다. 우선은 모 우체국에서 일하는 청년이다. 언뜻 보면 경찰복 비슷한 차림으로 일하는데 둥글둥글한 얼굴형이 누구에게나 친근감을 준다.

두 번째 청년은 모 식품매장에서 일한다. 주로 주부들을 상대하는 식품매장의 분위기 상 대부분 여 직원들인데 그만 혼자 남자 직원이다. 말하자면 청일점이라 할 만하다. 그는 회사의 제복 차림인 것은 물론이고 동료 여 종업원들처럼 앞치마까지 두른 모습으로 항상 상냥하고 성실하게 손님을 맞는다.

세 번째 청년은 세탁소 사장이다. 물론 혼자 하는 자영업이다. 아무 옷이나 걸치고서 근무해도 될 듯싶은데 그는 그렇지 않다. 항상 단정하고 깨끗한 옷차림이다. 특별한 제복차림은 아니지만 나는 그의 항상 단정하고 깨끗한 옷차림에서 제복 느낌을 받는다.

 

내가 사는 도시가 아직은 좁은 것일까? 그 제복 차림의 청년들을 잇달아 밖에서 목격할 줄이야.

우체국 청년은 경찰복 비슷한 차림 대신 청바지 패션으로 콧노래까지 부르며 어딘가로 부지런히 가고 있었다.

식품매장의 청년은 앞치마를 두르는 회사 제복 대신 멋진 선그라스까지 쓴, 산뜻한 야외복 차림으로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었다.

세탁소 청년은 식당에서 보았는데 친구들과 술잔을 주고받으며 유쾌하게 웃고 있었다. 세탁소에서 입는 옷이 아닌, 간편복 차림이었다.

 

세 청년들을 밖에서 잇달아 목격하게 되면서제복 차림이 아닌 평상복 차림의 그들을 보면서 나도 모르게 기분이 좋아졌다. 청년 취업난이 심각한 시대다. 하지만 직장에서는 제복 차림으로, 밖에서는 편안한 차림으로 열심히 사는 젊은 그들이 있기에 우리 사회가 침체의 늪에서 결국은 일어서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