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광희 님의 이 영화에 대한 분석을 얘기 들으며 ‘역시 영화 평론가라 예리하기가 남다르구나!’고 속으로 감탄했지만 나는 나대로 느낀 이 영화의 감상평을 적는다.
우선 이 영화의 심상치 않은 제목에 주목했다. 아무도 머물지 않았다는 뜻은 ‘그 자리에 있고 싶었으나 하는 수 없이 떠나야 했다’는 것이라고 해석해 봤다. 그런 관점에서 이 영화는 ‘사건의 발단이 된 메일을 봤는지 안 봤는지조차 불분명한 식물인간 여인’으로 말미암아 주변 인물들 모두가 갖가지 마음의 상처를 받게 되며 변하는데----- 이는 외견상으로는 평온했던 일상이 특정 사건으로 파열된 후 다시는 되돌아갈 수 없는 그 무엇으로 바뀌었음을 깨닫게 한다.
이혼 절차를 밟고자 찾아온 예전 남편이 이혼의 원인이 된 ‘사 년 전 사건 내용’을 고백하려하자 여자가 ‘그럴 필요가 없다’며 거부하는 모습이 단적으로 이를 입증한다. 이미 상처를 깊이 받아버린 이상 그 상처의 출발점을 알아봤자 현실에 있어서 아무 의미가 없음을 웅변하는 것이다.
그렇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마음의 상처들을 받기도 하는데 그 원인을 규명해 본다 해서 상처가 아물고 복원되는 게 아니라는 사실이다. 상처 받는 순간 변하니까. 그 누구도 제 자리에 머물지 못하고 떠나야 하니까. 그것이 인간사의 숙명이 아닐까?
이 영화의 끝부분에 이르러 남자가, 식물인간으로 누워 있는 여자한테 자신의 독특한 향수 냄새를 맡게 한 뒤 손을 꼭 쥐어 의식이 되돌아오길 간절히 바라는 장면으로 처리하는데----- 나는 이 부분에서 “관객들의 시선을 영화 마지막 장면까지, 긴장되게 끌고 가려는 기법에 불과하다”고 판단했다. 현실적으로 식물인간이 의식을 되찾을 가능성은 거의 없으니까.
사실 이 마지막 장면은 ‘여운을 주는 결말 기법’의 전형적인 경우이기도 하다. 등장인물들의 얽히고설킨 갈등으로만 이 영화를 마무리짓는다면 관객들 모두 답답한 가슴으로 극장 문을 나서겠지만----- 마지막 장면만이라도 한 줄기 희망을 준다면 그나마 조금은 밝은 가슴이 되어 극장 문을 나서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