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청년은 지팡이를, 둘째 청년은 검은 선그라스를, 셋째 청년은 짧은 턱수염을 컨셉으로 한 차림으로 몸을 흔들거리면서 노래 불렀다. ‘우우우하며 시작되는 이상한 멜로디의 노래였다.

나는, 1994년 어느 늦은 밤 모 TV의 음악프로그램에서솔리드란 이름의 낯선 청년 셋이 노래 부르던 그 장면을 아직도 기억한다. 그 노래가이 밤의 끝을 잡고였다.‘솔리드는 재미동포 2세들로써 구성됐으며 우리나라에 R&B(알앤비)를 최초로 대중화시켰다고 어느 음악평론가가 평했다.

 

한 편, R&B(알앤비)란 낯선 용어를 위키백과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R&B(Rhythm and Blues; 'R&B')는 흑인의 생활양식에 맞도록 녹음 된 블루스 보컬이나 밴드 연주의 대중음악을 총칭한다. 나른한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하며 가성을 많이 섞어 부르기도 한다. 1940년대 말 ~ 1950년 대 초, 블루스가 스윙 같은 댄스풍 재즈와 섞여 태어난 흑인음악이다. 블루스보다 댄스비트가 강하고 리듬멜로디도 대중적이다. 가사도 고단한 삶을 노래하던 블루스와 달리 쾌락적으로 흘렀다.”

 

우우우 하면서 시작되는 이 밤의 끝을 잡고노랫말은 이렇다.

 

- - 다신 널 볼 수 없겠지

나의 입술이 너의 하얀 어깨를 감싸 안으며

그렇게 우린 이 밤의 끝을 잡고 사랑했지만

마지막 입맞춤이 아쉬움에 떨려도

빈손으로 온 내게 세상이 준 선물은

너란 걸 알기에 참아야겠지

 

내 맘 아프지 않게 그 누구보다 더

행복하게 살아야 해 모든 걸 잊고

이 밤의 끝을 잡고 있는 나의 사랑이

더 이상 초라하지 않게

나를 위해 울지 마 난 괜찮아

 

<후략>

 

 

연인들이 타인들로 바뀌는 마지막 밤을 노래한 대중가요가 심심치 않게 있다. 이 노래 또한 그런 내용의 노랫말이다. 그 중 나의 입술이 너의 하얀 어깨를 감싸 안으며/ 그렇게 우린 이 밤의 끝을 잡고 사랑했지만이란 부분이 고혹적이다.

우선나의 입술이 너의 하얀 어깨를 감싸 안으며란 부분이다. 마지막 밤을 보내는, 새벽을 맞는 연인들이 나체로 깨어있음을 암시한다. 그래서 연인의 하얀 어깨가 드러나 있는데 그 어깨를 화자가 입술로 애무하는 장면이다. 아무래도 20대나 30대 초반의 한창 젊은이들의 사랑 장면으로 봐야 옳다.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알몸으로 (노랫말의 분위기로 보아 연인들은 지금 이불도 덮지 않고 있다.)그러다가는 감기 몸살에 걸리기 십상이다. 나이 많은 사람들은 아무리 헤어지는 마지막 밤이라도 이불도 안 덮고 그러는 무리를 저지르지 않는다. 왜냐고?‘헤어질 때 헤어지더라도 건강은 챙겨야 한다는 삶의 지혜가 축적돼 있기 때문이다.

 

이어지는이 밤의 끝을 잡고 사랑했지만란 부분이 나는 이 노래에서 절구(絶句)라고 여긴다. 마지막 밤이 새며 훤하게 동터가는 시간대임을 잘 나타내기도 했지만, ‘이란 추상적 개념인 시간을 구체적인 사물인 양 -’아서라도 그대와 더 있고 싶다는 고도의 수사법이 사용됐기 때문이다.

이런, 고도의 수사법은 조선 중종 때 송도 명기 황진이의 시조에서도 쓰였다.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춘풍 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여기서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어란 구절이 그것이다. ‘이란 추상적 개념인 시간을 구체적인 사물인 양 표현하여 님을 기다리는 안타까운 심정을 절실하게 표현했다.

좋은 표현은 시공에 구애받지 않는다.

1990년대 솔리드와 조선 중종 때의 황진이는 시간상으로나 공간상으로나 절대 만날 수 없다. 하지만이란 추상적 개념인 시간을 구체적인 사물인 양 표현하는 마음의 공감대에서 양쪽은 완전히 만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