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가 논픽션 영화의 진수를 보여주었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나는 다른 좋은 점을 찾아 봤다.

 

 

 

 

 

이 영화는 다 함께 하는 예술의 의미를 곱씹게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우리가 아는 예술은 대개 예술가가 혼자 이룬 뒤 나중에 대중들이 국외자로서 향유하는 형태였다. 대중들은 하나의 그림 앞에 거리를 두고 서서 고개를 끄덕이거나 아니면 다른 그림으로 발길을 돌리거나 하는 피동적인 객체였다. 하지만 웨이스트랜드는 예술가가 대중들과 함께 예술 행위를 함으로써 결국은 벅찬 공감대까지 이루는, 공동예술의 진면목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관객들의 눈시울까지 뜨겁게 적셨으니, 이 영화의 공감대는 스크린 밖에까지 펼쳐진 게 아니었을까!

 

 

 

특히 티앙이란 인물이 자신을 소재로 한 빅 무니즈의 작품이 훌륭한 예술작품으로 인정받는 순간 하염없이 흘리는 눈물이라니. 그 장면에서 함께 눈물을 흘리지 않을 관객이 있을까?

 

 

 

 허구(픽션)는 실제를 바탕으로 한다. 실제의 갖가지 현상들에서 허구로 엮을 재료를 구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허구는 실제의 현상들보다 더 재미있을 수밖에 없다. 지루하거나 하찮아 보이는 실제의 재료들은 일단 제외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무리 잘 된 허구라도 실제를 못 따른다는 사실 또한 부정할 수 없다. 왜냐면 허구는 실제의 부분적인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논픽션 영화는 실제와 픽션 사이에 서 있는 아주 모호한 영화다. 어쨌든 실제의 현상들에서 필요한 것들만 간추려 엮은 영화라는 점에서 픽션 영화와 다를 바가 없으니까.

웨이스트랜드는 논픽션 영화가 갖는 자기모순을 충분히 극복한 수작이었다. 이 작품을 기획하고 연출한 빅 무니즈의 탁월한 능력에 찬사의 박수를 아낄 수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