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 노래'

  

떠나는 그대

조금만 더 늦게 떠나준다면

그대 떠난 뒤에도 내 그대를

사랑하기에 아직 늦지 않으리

그대 떠나는 곳

내 먼저 떠나가서

나는 그대 뒷모습에 깔리는

노을이 되리니

옷깃을 여미고 어둠 속에서

사람의 집들이 어두워지면

내 그대 위해 노래하는

별이 되리니

떠나는 그대

조금만 더 늦게 떠나준다면

그대 떠난 뒤에도 내 그대를

사랑하기에 아직 늦지 않으리 

 

 

 

   이 시는 정호승 시인이 지은 이별가이다. 근래에 이동원이란 가수가 특유의 쓸쓸한 음색과 창법으로 불러서 대중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왜냐면 나 자신도 이동원의 노래를 듣고서 이 시를 알았기 때문이다. 뒤늦게 가사로 쓰인 시를 확인해 보고서 그 뛰어난 감성에 나는 놀랐다. 근래에 보기 드문 역작이라 느낀다. 이제 이 시에 대한 나의 분석 및 감상을 적어 본다. 그저 느끼는 대로 번호를 매겨서 적는다.

 

1. 이 시의 제목부터 유의한다. 보통의 경우라면 이별의 노래라고 할 것을 ‘-라는 조사를 쓰지 않고 이별 노래라고 한 것에 유의한다. 얼마나 호흡이 간결하고 선명한가. ‘-라는 관형격 조사를 쓸 일 없이 이별이란 단어와 노래란 단어를 곧바로 연결함으로써 바로 이별가란 단어를 풀어 쓴 것을 암시한다. 그렇다면 이별가라고 쓸 수 있는데 왜 굳이 이별 노래라고 한 음절이 긴 제목으로 썼을까? 그것은 아마도 한자어를 최대한 피하고자 함이다. 놀랍게도 그의 시에서 한자어라곤 오직 이별이란 단어밖에 없다. 제목에 쓰인 이별이란 단어 이외에는 철저하게 순수한 우리말로만 표현한 그 언어구사력에 나는 경탄한다.

그렇게 이별이란 한 단어만 한자어를 썼기에 역설적으로 이별의 이미지는 더욱 선명하게 강조되는 효과를 낳았다.

 

2. 이 시가 전개되는 스토리의 시간적 배경을 본다. 이별이 노을지는 저녁부터 별 뜨는 밤으로 이어지고 있다. 곧 서서히 어두워지다가 깜깜해지는 하루의 늦은 시간대이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밝은 오전의 스토리가 있다면 그에 비교되어 어둡고 쓸쓸하기 이를 데 없는 배경이다. 더구나 늦은 밤에서 스토리는 끝난다. 그렇기에 독자들에게 답답한 심사를 안겨줄 수 있음에도 그것을 벗어난 것은 을 등장시켰기 때문이다. 결코 희망적인 별은 아니지만단지 떠나는 그대를 잊지 못한 마음의 설렘일 뿐이지만 이 별이 놓임으로써 심연에 떨어질 수 있는 어둠의 위험을 막았다.

 

3. 내가 이 시에서 가장 맘에 들어 하는 구절은 사람의 집들이 어두워지면이란 부분이다. 왜 굳이 사람의이란 표현을 생략하지 않았을까. 생략해도 별 문제는 없는데 말이다. 이것은 시인의 세계관에 닿아 있는 표현이라 본다. 노을’‘’‘어둠등의 자연물과 어우러지는 하나의 자연물로서 사람을 보았기 때문이다. 그냥 이라고 표현한다면 당연히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을 의미한다고 우리는 간주하지만 시인은 그렇게 보지 않았다. 동물들도 집이 있으니까 (‘새집’‘호랑이 굴등등) 굳이 사람의 집으로 구분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런 생각 속에서 표현된 사람의 집이므로 그 집은 모든 자연물 속의 하나일 뿐이다. 곧 그대와의 이별조차 대자연 속의 한 사건임을 부각시키고 있다. 그대와의 이별조차 자연 현상의 하나임을 암시하기 위해서 주변의 집조차 사람의 집이라고, 자연물의 하나라고 시인은 노래 부르고 있다.

 

4. 이 시가 노래로 불릴 때 안정적인 느낌으로 와 닿는 원인 중의 하나는, 4연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면서 각 연 또한 4행으로 이루어진 구조에 있다. 게다가 제 1연과 제 4연이 같은 수미상관적 구조이다. 곧 이별이란 슬픈 스토리를 앞뒤로 막아주면서 마치 별 하나 떠 있는 밤하늘이 담긴풍경화 한 편을 보는 느낌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수미상관에 의한 제 1연과 제 4연이 풍경화가 담긴 액자의 테두리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게다가 각 연마다 한 문장(sentence)으로 끝나면서 각운까지 사용하였다. '-‘’-‘’-‘-가 그것이다. ‘l'모음으로 일관해 끝나는 각운 구조가 이 시에서 안정감을 주는 역을 더한다.

 

5. 이 시에서의 시인의 유일한 동작이라면 제 3연의 옷깃을 여미'는 동작밖에 없다. 나머지는 생각뿐인 동작이다. ( ‘되리니) 시인은 떠나가는 그대에 대하여 조금만 더 늦게 떠나주기를 바랄 뿐이다. 떠나가는 님에 대하여 진달래꽃을 뿌려주며 돌아오기를 기원하는 김소월의 정서에 닿아 있다. 세상이 변했지만 이러한 정서가 여전히 우리에게 남아 있어서, 이 노래를 좋아하는지 모른다.

옷깃을 여미'는 구절이 유일한 동작이면서 제 3연의 첫 구절에 쓰이니까 기승전결의 구조 속에서 전()의 역을 충분히 하였다는 느낌이다. 그렇게 이 시에서의 유일한 움직임은 전에서 조금 존재하더니 다시 어둠 속으로 가라앉는다.

 

6. 이 시에서는, 같은 표현을 끊임없이 사용했으되 조금도 상투적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체가 16행인데 무려 8행에 걸쳐서 떠난이란 표현이 나온다. 그러고도 조금도 식상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 아마도 어둡게 변해가는 시간적 배경을 깔고 그저 조금만 남아 주기를 바라는 시인의 가슴 아픔이, 그런 반복적 표현을 깨닫지 못하도록 만든 게 아닐까. 말하자면 어둡게 장막을 치는 가운데 진행되는 일종의 최면 기법이다.

 

7. 이 시는 근래에 보기 드문 역작이다.

나는 이 시의 주인공을 서정적 자아라고 보지 않는다. ‘시인으로 본다. 언젠가부터 모든 시의 주인공을 한결같이 서정적 자아라고, 시인이 아닌 별도의 인간으로 보는 견해가 자리를 잡았는데 나는 이에 반발한다. 서정적 자아가 바로 시인일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봐야 한다. 나의 주장이다. 그렇지 않고서야 이런 시가 나올 수가 없다.

 

얼마나 아름다운 헤어짐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