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9년 연말이다. 내가 춘천문협의 송년회장에서 우안 최영식을 처음 만난 것은.

만나기는 그 때가 처음이었지만 알기는 오래 전부터였다. 그의 눈이 소 눈을 닮아서 사람들이 우안(牛眼)이란 호를 붙였다는 것, 한국화에서 독보적인 경지를 이룬 춘천 화가라는 것, 생활한복을 즐겨 입는다는 것, 근년에는 소나무 그림에 천착하고 있다는 것 등을 언론매체나 소문을 들어서 알고 있었다는 얘기다.

특히 몇 년 전에 산막골에서 정재식 금속공예가를 만났을 때는 '우안이 저 아래 폐교에서 살다가 얼마 전에 시내로 나갔다'는 얘기를 들었고, 어디 그뿐인가, 선배소설가 이도행 씨한테서한 때 산막골의 폐교에서 우안과 같이 지냈다는 얘기를 듣기도 했다. 

 

2019년 연말의 춘천문협 송년회장에서 처음 우안을 만나면서 나는 그의 주소를 묻고는 며칠 후 내 두 번째 작품집 ‘K의 고개를 우편으로 보냈다. 화가인 그가 뜻밖에 글도 잘 쓰는 사람임을 알게 됐기 때문이다.

책을 선사받으면 감사의 뜻을 전하는 게 예의다.

그런데 그는 꿩 잡아먹은 것처럼 감감무소식이었다. 그래서 내게 오해가 생겼다. ‘우안이 그림은 잘 그릴지 몰라도 예의는 없는 사람이구먼!’

 

오늘(2021.3.31.) 그 우안을 만나게 되면서 오해가 순식간에 풀렸다. 그가 내게 말했다.

"제가 청각에 장애가 있어서 책 받은 고마움을 어떻게 전해야 할지 몰라 차일피일 미루다가 

하면서 ‘K의 고개를 읽은 독후감까지 말해줬다. 순식간에 오해가 풀렸다. 우리는 악수를 두 번씩이나 하며 환하게 웃었다.

 

우안과 나는 625동란 중 태어난 사람들이다. 앞으로 틈나는 대로 만나서 얘기 나눌 것이다.

 

 

우안 최영식 - 선암사 와송과 선암매

 

우안 최영식 -  도산 매송도

 

우안 최영식 - 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