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문학회활동사> -5


그리고 문학회가 창립되기는 19715월 어느 날이다.

 

6개월 전인 197012월 어느 날, 이병욱은 태백산맥 너머에 있는 강릉고등학교 3학년 학생 박기동의 편지를 받는다. 편지의 내용을 간략히 줄이면 이랬다.

제가 내년에 진학할 대학을 강원대로 정했는데 그 이유는 병욱 형님과 문학 활동을 함께하고 싶어서입니다. 강원대에 합격하는 대로 형님께 연락을 드리겠습니다.”

박기동과는 그 전부터 편지 왕래가 있었던 사이. 강릉고등학교에서 운동도 잘하고 시도 잘 쓰는, 문무(文武)를 겸비한 학생으로 소문난 박기동이 어떻게 태백산맥 너머 춘천의 이병욱을 알게 됐을까? 그 해답은 김병덕 선생님덕분이라 할 수 있다. 강릉 사범을 나와 초등학교 교사 생활을 하다가 검정고시를 거쳐 중등교사가 된 다소 특이한 경력의 김병덕 선생님은 실력 있는 국어 선생님으로 소문이 나 있었다. 그 김 선생님이 춘고 교사로 있던 1969년에 이병욱 학생의 고3 담임이었다는 사실. 이듬해인 1970, 김 선생님은 강릉고로 전근 가고 학생 이병욱은 강원대학 국어교육과로 진학하면서 헤어지게 됐는데김 선생님이 강릉고에서 국어를 가르치면서 만난 운동도 잘하고 시도 잘 쓰는 학생이 박기동 학생이었던 것. 그런 연유로 박기동 강릉고 학생이 강원대학 이병욱에게 먼저 편지를 보냄으로써 서로 아는 사이가 된 것이다. 그 시절 문학도(文學徒)들의 인간관계는 편지를 보냄으로써 시작됐다.

이병욱의 고 3 때 담임이었을 뿐만 국어과목도 가르친 김병덕 선생님. 문학에 조예가 깊어 춘고 문예반 지도를 맡기도 한 김 선생님은 특히 분석을 잘하셨다. 훗날 이병욱이 소설을 쓰면서도 감상과 분석을 즐기는 건 그 영향일 것이다.

세월이 흐른 1981년에는 춘천의 춘성고등학교에서 연구부장(김 선생님)과 연구부 소속 국어교사(이병욱)으로 만나 2년간 함께 근무하기도 했고1989년에는 영월고등학교에서 교감(김 선생님)과 부장교사(이병욱)로 함께 근무하기도 한, 각별한 인연.

하지만 몇 년 지나지 않은 1992년 가을 어느 날, 김 선생님이 심장병으로 갑자기 돌아가심으로써 이병욱과 이승의 인연은 막을 내린다. 그로부터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이병욱은 김 선생님을 잊지 못해, 2019년에는 글을 써서 블로그에 남기기도 한다.

김병덕 선생님이 그 특유의 팔자걸음으로 괜한 헛기침까지 하며 내게 다가왔다.

이 선생. 이번 교직 연수에 가 봐야 할 것 같은데.”

교직에서 연수는 크게 둘로 나뉜다. 하나는 승진에 반영되는 연수. 다른 하나는 승진에 반영되지 않고 단지 참가해 강의를 받는 데 그치는 연수. 승진에 반영되는 연수의 경우, 시험을 치르는 것은 물론이고 그 때마다 겪는 시험 스트레스가 엄청났다. 그러니 단지 강의를 받는 데 그치는 연수를 선호할 만한테 나는 그조차 꺼려했다. 그런 연수는 귀담아들을 게 없는강사(講師)들의 시간 때우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내 결론은, ‘모든 연수는 싫다!’ 였다.

그래서 김병덕 선생님이 조심스레 내게 다가온 것이다. 20시간을 앉아 있어야 하는 연수로서 승진과는 관련 없지만 여하튼 연수라면 일단 거부하는 나를 달래려고 다가와 그러는 것이다.

이 선생이 가 봐야지 어떡하겠어?”

보나마나, 학교 별로 한 사람씩 그 연수에 참가하라고 벌써부터 공문이 왔는데 아무도 가지 않으려 하자 하는 수 없이 교직 경력이 낮은 편인 나를 대상자로 정한 게 아니겠는가. 솔직히, 다른 연세 많은 선생님이 그런다면 나는 안면몰수하고 단호히 거부의사를 밝혔을 테다. 하지만 김병덕 선생님한테는 차마 그럴 수 없었다. 내가 춘고 3학년 학생일 때 담임선생님이셨으니까. 그뿐만이 아니다. 같은 국어과 교사로서 작문 분야에 있어서는 거리낌 없이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유일한 분이다. 학창시절에는 사제지간이다가 세월이 흘러 교직에서 선후배 사이가 될 줄이야 누가 알았으랴.

알겠습니다.”

내가 마지못해 승낙하자 김병덕 선생님은 옛날 제자가 자신의 위신을 세워줬다는 생각인지 미소를 지으며 돌아갔다. 김병덕 선생님은연수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연구과장이다.

문제는 그 후다. 나는 아무리 생각해 봐도 영양가 하나 없는, 강사의 시간 때우기 연수를 듣느라 20시간이나 딱딱한 의자에 앉아 있을 걸 생각하니눈앞이 캄캄해졌다. 그러다가 문득 이상한 생각이 들었다.

내가 퇴직한 지 오래인데 무슨 연수야?’

꿈이었다.

꿈에서 깼다. 이른 새벽, 우리 집이었다. 퇴직한 지 10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교직에 있었을 때 꿈을 꾸다니.

'김병덕 선생님'이 돌아가신 지 어언 27. 꿈속이지만 정말 오랜만에 선생님을 뵈었다. 특유의 팔자걸음이며 구부정하게 큰 키. 생전에 같은 학교에 재직할 때 제자인 내가 선생님 눈치를 보는 게 아니라 반대로 선생님이 내 눈치를 볼 때가 많았다. 나는 순순한 제자가 못 되었다. 후회가 된다.

김병덕 선생님. 그곳에서 잘 계시는지요. 이렇게 제자가 안부를 전합니다.”

 

-‘무심이병욱의문학산책에서 발췌


 1974년 12월 14일. 삼척 죽서루 앞 출렁다리에서 찍은 ‘그리고 문학회’ 기념사진 

(왼쪽에서부터 박기동, 이병욱, 김명희, 임명희, 이흥모, 신승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