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문학회’ 활동사> -3
6,70년대 춘천지역의 문인들과 인연을 맺는 과정에서 이병욱은 전상국 선생님(소설가)도 만나게 된다. 다소 길지만 그 때 이야기를 옮긴다.
『1966년 봄날에 춘천에서 ‘제 1회 개나리 문화제’가 열렸다. 행사의 일환으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백일장이 열렸고 뜻하지 않게 나는 시(詩) 장원이라는 영예를 안았다. ‘뜻하지 않게’라는 표현을 쓴 건, 영문도 모르고 백일장에 참가한 때문이다.
당시 나는 춘천중학교 3학년 학생이었는데 학급담임선생님이 “수업은 걱정하지 말고 글짓기 대회에 다녀와라.”고 갑자기 외출(?)시킴으로써 얼결에 이뤄진 일이었다.
나는 아직도 장원으로 뽑힌 내 시의 제목을 기억한다. ‘산길’이었다.
난생처음으로 국어사전까지 부상으로 받는 영광의 날, 며칠 후 아주 젊은 선생님이 나를 찾았다. 나중에 알았는데 부임한 지 얼마 안 돼 3학년 국어를 맡은 선생님이라 했다. 3학년이 8개 반이나 돼 국어 선생님 두 분이 4개 반씩 맡아 가르쳤는데 다른 반 국어를 가르치는 선생님이었다.
“네가 이번에 시에서 장원한 이병욱이냐?”
“네.”
“가만 있자, 병욱이 아버님 성함이 어떻게 되시냐?”
아버지 성함을 말씀 드리자 선생님은 ‘아!’ 하면서 어떤 감회에 젖어 말을 못했다. (왜서 그랬는지는 이 글의 후미에 밝힌다.) 잠시 후 선생님은 이렇게 말을 맺었다.
“병욱이가 시 공부를 하면 좋은 시인이 될 것 같구나. 내가 아는 시인이 한 분 있는데, 네 시 공부를 부탁해 놓을 테니까 앞으로 토요일 오후에는 학교에 남아야 한다.”
나는 고개를 끄덕이고는 교무실을 나왔다.
토요일 오후가 됐다. 나는 잠시 갈등하다가 깜빡 잊은 척하고 귀가해 버렸다.
아마 선생님이 우리 반 국어를 가르치는 분이었다면 당장 그 다음 주 월요일 수업시간에 나를 보는 대로 야단을 쳤을 게다. 하지만 다른 선생님한테 국어를 배우는 학생이라는 사실 때문인지 그냥 넘어가 버리고 말았는데 … 어쩌면 ‘이런 맹랑한 녀석은 일찌감치 포기해버리자’며 알아서 단념해버렸을지도 몰랐다.
사실 내가 감히 선생님의 호의를 외면한 건 ‘학교에서 수업이 끝난 뒤에 따로 남아 하는 특별활동’에 마음의 상처가 깊었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6년 간 ‘그림 잘 그리는 어린이’로서 매일같이 학교에 남아 미술반 활동을 했던 고된 경험이 그것이다. 여하튼 그 바람에 선생님과 소중한 인연이 시작될 뻔했다가 사라졌다. 나중에 알게 됐는데 그 선생님이 ‘전상국 선생님’이라는 사실. 그 때 내가 말씀대로 ‘토요일 오후에 따로 남아’ 시 공부를 했더라면 일찍 시인이 되지 않았을까?』
- ‘무심이병욱의문학산책’에서 발췌
내가 춘중 3학년 학생일 때 우리 아버지 성함을 물어서, 말씀 드렸더니 전상국 선생님이 어떤 감회에 젖어 말을 못하던 까닭이 반세기 지나 밝혀졌다. 2019년 정초에 사석에서 선생님이 이런 말씀을 하였다.
“이병욱 작가의 아버님이, 내가 춘고 학생일 때 강원일보 현상문예 심사를 맡으셨는데 내 소설을 당선작으로 정하셨지. 그 때의 당선으로 내가 소설 쓰는 일에 자신이 생기면서 나중에 소설가가 됐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