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1210/pimg_7492661022758399.jpg)
소양 7교가 놓인 지 1년이 지났다. 소양 7교가 놓이기 전, 오랜 세월 동면과 윗샘밭을 이어주던 세월교가 통행이 제한되는 채로 남아 있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1210/pimg_7492661022758401.jpg)
흐르는 시간을 뜻하는 歲月의 ‘歲月橋’인 줄로 오해들 하지만… ‘소양강댐 수문이 열리면 물이 다리를 넘는다’는 뜻의 洗越橋이다. 1967년, 소양강댐 건설 당시 공사용 가도(假道:임시로 낸 길)로써 시작됐기 때문이다.
콘크리트 노면에 놓인 원형관이 콧구멍을 닮아 ‘콧구멍다리’로도 불리는 우리 춘천의 세월교.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1210/pimg_7492661022758402.jpg)
무더운 여름밤이면 잠 못 이루는 시민들이 찾아와 돗자리를 펴는 곳으로 … 겨울철이면 낚시꾼들이 몰려들어 빙어를 낚는 곳으로 소문났었는데 이제 앞으로 어떤 운명을 맞을까?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1210/pimg_74926610227584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