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젊은 시절, 춘천에 도심 다실이 있었다.

 

당시에는 도심의 뜻을 잘 몰랐다. 나이가 들어서 깨달았다. 도심은 한자로 都心이며 그 뜻은 도시의 중심부였다. 그렇다면 얼마나 잘 지은 이름인가. 시내 한복판인 중앙로 로터리에 접한 다실이었으니.

이런 생각도 든다. 도심의 심()이 본래 마음을 뜻하는 한자이니까 다실 이름 도심은 도시의 마음을 나타내기도 한다는.

 

어쨌든, 1970년경 중앙로 로터리에 접한 도심 다실은 묘한 데가 있었다. 흔치 않은 지하인데다가 삼각형 공간이었던 것이다. 대개의 다실(다방)이 반듯한 사각 공간인 걸 생각하면 도심 다실은 아무래도 입지(立地)에 사연이 있어 보였다. (훗날, 새로 지은 옆 건물의 일부분으로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렸으니 애당초 반듯한 구조를 갖기 어려운 자투리땅이 아니었을까.)

 

 

그 즈음 여름날이다. 내가 무슨 일인지 오전 10시 경에 도심 다실에 들어가 앉았다. 지하라 서늘한데다가 물청소까지 마친 직후라 냉기마저 맴 돌았다. 티셔츠 차림인 나는 몸을 움츠릴 수밖에 없었는데 그 때 감색넥타이에 연두색 여름양복을 입은 정장 차림의 사내를 보게 되었다. 사내는 다실의 종업원 아가씨(당시 레이지라 불렀다.) 둘과 이야기 나누고 있었다. 정확히는, 아가씨들이 얘기하고 사내는 눈을 반쯤 감은 채 간간이 고개나 끄덕이는 모습이었다.

오랜 세월이 흐른 지금도 내가 그 날 도심 다실에서 본 연두색 차림의 사내를 생생히 기억하는 까닭은, 사내만큼 양복 정장이 잘 어울리는 사람을 여태 못 봤기 때문이다. 얼굴도 잘생긴 사내였다. 탤런트 이정길 씨를 닮아서 종업원 아가씨들이 체면 무릅쓰고 손님도 아닌데 합석해서 말을 붙였던 것 같았다.

다실 벽의 형광등 불빛이, 사내가 고개를 끄덕일 때마다 함께 움직이는 연두색 상의(上衣) 자락을 선하게 드러내주었다. 다림질이 잘 돼 상의의 날선 줄이 드리우는 그늘 때문이다.

돌이켜보면 평일 날 양복 차림으로 오전부터 다실에 앉아 무료한 시간을 보내던 사내는, 카바레 제비족일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지 않고서야 남들 출근해서 사무실에 있을 시간에 그런 차림으로 반쯤 졸면서 지하 다실에 있을까. 아마도 노란 달걀 푼 쌍화차 한 잔을 마시고서 지난밤에 있었던 일을 반추하는지도 몰랐다.

그 후 나는 사내를 다시 본 적이 없다. 세월이 반세기 흘렀다.

오늘 문득 사내가 어떻게 변했을까?’ 궁금해졌다. 분명한 것은 사내도 나처럼 노인네가 됐을 거라는 사실이다. 지하공간에서도 빛나던 20대 청춘들은 어느 덧 사라져버렸다.

 

내 젊은 시절 춘천에, 지하에 도심 다실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