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329, 김유정 문학촌은 김유정 추모제를 맞아 전국에서 찾아온 손님들로 넘쳐났다. 인파 속에서 누군가가 내게 소리쳤다.

이병욱 씨. 최돈선 씨가 찾고 있어.”

무슨 일인가 싶어 서둘러 찾아갔더니 최돈선 시인이 특유의 웃는 표정으로 말했다.

이도행 씨 알지? 자네를 만나보고 싶다고 기다리고 있어.”

네에?”

놀랄 수밖에 없는 것은, 그 이름은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만나본 적은 한 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이도행(道行)’

내가 그 이름을 인지하기는 49년 전인 1970년 그 해 무더운 어느 여름날부터다. 춘천 중앙로 로터리 부근에 있는 조양인쇄소에서 동급생 ○○’(여학생이다.)와 함께 타 교지(校誌)들을 살펴볼 적에, ‘이도행이란 독특한 이름이 눈에 뜨였다. 그녀와 나는 강대 교지 편집위원으로 선정되어 출판을 맡은 조양인쇄소에 와, 참고삼아 타 교지들을 살피던 참이었다. 아마 춘천교대 교지에서 이도행이름 석 자를 봤나 보다. 게재된 단편소설의 작가 이름으로서.

그녀가 불쑥 말했다.

이도행이란 사람을 내가 아는데 우리보다 5년 위죠.”

잠시 생각에 잠기더니 이런 말을 이었다.

우리 언니가 이도행 씨와 동급생이라서 잘 아는데 성질 고약하다!’고 그러더라고요.”

뭔가 재미난 사연이 있어 보여서 이어지는 얘기를 기대했는데 그녀는 다시 침묵하다가 불쑥 이런 말로 얘기를 마무리 지었다.

하기사, 소설 쓰는 사람들은 괴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라.”

나는 어처구니없게도 한 방 맞은 느낌이었다. 강대 입학하기 전인 1969, 춘고 3학년일 때 13회 학원문학상소설 부문 당선으로 나름대로 촉망받는 미래 작가소리를 듣는 참이었으니 말이다. 하긴, 국어교육과 1학년생인데도 학생회에서 교지 편집 일을 맡긴 건 그 경력 때문이다. 동급생 그녀도 춘여고 다닐 적에 글 잘 쓰는 학생으로 명성이 나 있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