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달만에 두꺼운 책을 읽었다. ‘로마, 약탈과 패배로 쓴 역사 ( 메슈 닐 지음, 박진서 옮김)’란 인문학 도서다. 사흘 걸려 읽었다. 예전에는 아무리 두꺼운 책이라도 하루 만에 독파했는데 이제는 시력도 떨어진 데다가 지구력까지 저하된 탓에 그렇지 못하다.

언젠가는 두껍기로 소문난··도 하루 만에 독파했다. 그 비결은 단순하다. ‘책의 내용을 빨리 알고자 하는 호기심이다.

당뇨 악화로 시력이 무척 안 좋은 장모님한테‘K의 고개를 내자마자 한 권 드렸을 때 열흘 가까이 그 안 좋은 몸으로 독파하고 나서 내게 이런 전화를 했다.

이 서방. , 다 읽었어. 재미나게 썼더군.”

아니 몸도 안 좋으실 텐데.”

왜 있잖아, 책을 읽으면 머릿속에 훤히 그려지는 거 말이야. 그 재미에 읽는 거지.”

바로 그것이다. 장모님 머릿속에 훤히 그려지는 것이 내가 책을 읽게 되는 호기심과 같은 것이다.

 

로마, 약탈과 패배로 쓴 역사에서 본 흥미로운 사실 몇 가지.

우선, 로마 제국 초기부터 시멘트로 콘크리트 건물을 축조했다는 사실이다. 황제의 공고한 권력을 상징적으로 과시할 목적이란다. 그렇다면 시멘트는 현대인의 전유물이 아니었다. 현대인은 단지 수공업 차원이던 로마 시대의 시멘트를 대량 생산하는 시스템(시멘트 공장)으로 발전시킨 것에 불과하다는 깨달음!

 

로마의 어린이들도 돌싸움을 즐겼다는 사실이다. 내 어린 시절에도, 같은 동네 애들과 무리를 지어 다른 동네 애들과 수시로 돌싸움을 벌였다. 몸을 다칠 위험한 짓이었는데도 아랑곳하지 않았다. 머나먼 로마의 어린이들이나 이 땅의 어린이들이나 동네 간 돌싸움 벌이기는 한결 같았다는 사실. 놀랍고 재미있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여자란 결함 있는 남자라고 정의했다는 사실도 책 속에 언급된다. 만일 그가 요즈음 그런 발언을 했다면 당장 여론의 질타를 받음과 동시에 사회적으로 매장되고 말 것이다.

 

‘19세기 이탈리아에서 사생아 출산이 급증했고 그 때문에 쿠오타(고아원 벽에 설치되어 아기 엄마가 익명으로 아기를 두고 갈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는 이탈리아인이 그 어느 때보다 늘어났다는 내용도 무척 낯익다. 시대와 나라가 다르지만 판으로 찍어낸 듯한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오랜 세월 수많은 전란의 후유증으로 무질서하게 된 로마 시가를 오늘날의 질서를 갖춘 도시로 그나마 만들어낸 데에는 무쏘리니의 공이 크다는 내용도 놀랍다. 물론 말년에 이르러 실정에다가 독재자로서 비참한 죽음을 맞이하지만 말이다.

 

첨언:

사실 완전한 번역은 불가능하다. ‘번역은 반역이다는 말이 있는 게 그 때문이다. 예를 들어김소월의 진달래꽃을 영시로 제대로 옮길 수 있을까? 담긴 감정은 둘째고 뜻만 겨우 옮겨질 것이다.

그렇다 해도 로마, 약탈과 패배로 쓴 역사의 번역은 다소 거친 느낌을 어쩔 수 없었다. 의역보다는 직역에 중점을 둔 결과였을까? 글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