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쾌한 미소의 시인 유기택한테서 몇 권의 시집을 선사받았다. 그 중 가장 최근에 낸짱돌시집을 읽어 봤다. 아니 맛봤다. 사실 시는 맛봐야 하는 게 아닐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시를 읽는 것은 시가 문학의 한 장르로서 문자로 쓰여 있기 때문이다. 문자. 문자가 있어서 우리는 문학을 감수하는 이점을 얻었지만  그렇기에 생생한 마음을 놓치는 손해를 감수하는 것임을.

우리 주변의 사물에서 느껴지는 감흥을 문자로 옮기는 순간 그 감흥은 박제되는 숙명을 어쩌지 못한다. 이를 시인 박남수는 일찍이 라는 명시에서 갈파했다.

 

포수는 한 덩이 납으로

순수(純粹)를 겨냥하지만

매양 쏘는 것은

피에 젖은 한 마리 상한 새에 지나지 않는다

 

2.

유기택의 짱돌 시집에 실린 시들에서 나는 그의 동심(童心)을 보았다. 예를 들어이란 시의 이런 표현이다.

 

내가 가끔 당신에게 힘내.”라 말하는 것도

흩어서 거꾸로 묶으면 내 힘으로도 읽히는

 

이렇게 장난기 넘치는 표현이 있을까! 동심이 아니고서는 나올 수 없는 표현이다. 하지만 그 동심은 깊이를 잃지 않았다.

 

그 무의미한 것들에서 문득,

낱낱의 그것이 우리였다는 비의를 캐냅니다

 

라는 표현으로서 인생이란 사실 하루하루가 쌓여서 이뤄지는 것임을 갈파했다. 유 시인은 생각의 틈에 관한 보고서란 시에서도 이런 동심을 보여준다.

 

나는, 내가 식어가는 것이 싫었다

뜨거운 커피를 마셨다

 

삶의 무력감을 견디지 못해 보이는 행동이 뜨거운 커피를 마시는 것이었다. 뜨거운 커피를 마신다 한들 무력감이 극복되는 것은 아니겠지만 시인은 그런 표현으로써 자신을 지탱한다. 사과의 한 품종인 홍로를 다룬 시도 있다. 빨갛게 익은, 사과나무 밭을 보며 시인은 이리 표현했다.

 

새가 노을을 물어들이는 저런 세상

 

각각이 존재하는 ’‘사과’‘노을이 하나로 어우러지고 있다.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다. 시인은 이웃이란 시에서 집으로 전선을 들이려다 계획이 바뀌면서 흘린 구멍에 참새 두 마리가 깃들여 사는 모습까지 놓치지 않았다. 동심의 눈이 아니고서는 나올 수 없는 시다.

 

3.

유 시인은 짱돌시집에서, 살아가면서 느껴지는 감흥들을 담담히 노래했다. 문자(시어)를 사용하면 생생한 감흥을 손해 보기 십상인데 그다지 개의치 않는 것 같다. 유 기택. 그는 마치 짱돌들을 여기저기 던지듯 세상을 노래했다. 의외로 그 짱돌들은 맞아도 아프지 않다.

그의 문운을 빈다.

 

 

첨언: 좋은 표현들이 많았다.

 

의자에 앉아 잠깐 졸다

앞으로 쏟아질 뻔했습니다

! 이다지 출렁거리는 생이여

<‘취생몽사 >

 

첫눈을 기다리는 애인들을 위해

매 겨울마다, 거르지 않고 첫눈이 내립니다

<‘첫눈 >

 

물든다는 것

그보다 천천한 혁명은 다시 없을 거라

<‘정경 >

 

무성영화 같은 바깥 풍경들이 종일

마당을 쌀쌀대며 돌아다녔다

<‘몸살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