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병 시인은귀천이 대표 시로 돼 있다. 나는 귀천보다는 갈대가 그의 대표 시가 돼야 한다고 여긴다. ‘갈대시를 보자.

 

갈대 / 천상병

 

환한 달빛 속에서

갈대와 나는

나란히 소리 없이 서 있었다.

 

불어오는 바람 속에서

안타까움을 달래며

서로 애터지게 바라보았다.

 

환한 달빛 속에서

갈대와 나는

눈물로 젖어 있었다.

 

 

이 시에는 인간의 근원적인 외로움(김현승 시인의절대고독과 같다.)이 잘 나타나있다. 사실 존재의 외로움은 숙명적인 거라서 그 누구도 면()할 수 없다. 심지어는 갈대조차 외로움에 처해 있는데, 그렇다고 갈대와 내가 함께 있다고 해도 그 외로움이 절감되지 않음을 이 시는 절절하게 보여준다. 이 시에서달빛이 한 역할 한다. ‘갈대와 나라는 존재를, 나아가서는 존재의 외로움을 극명하게 드러내 보이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에.

이 시에 등장하는 사물들 대부분은 시적화자의 정서처럼 연하기 짝이 없다. ‘갈대’ ‘달빛’ ‘눈물이 그렇다. 그 탓에 작품의 분위기가 가라앉을 수 있는 위험을바람으로써 해결했다. 바람이 불어옴으로써 안타까움을 달래며 나아가 서로 애터지게 바라보게까지 했다. 고요한 가운데 움직임이라는 정중동(靜中動)이 이것이다.

 

이 시의 스토리는 이렇다.

어느 환한 달밤에, 나는 갈대밭에 있었다. 그 때 바람이 불며 나와 갈대는 함께 흔들렸다. 나는 마음이, 갈대는 잎과 줄기가 흔들린 것이다. 하지만 그뿐, 각자(各自)의 외로움은 여전하다. 외로움은 존재의 숙명이니까. 결국 나는 눈물 흘린다.

 

사실 이 시는 어느 달 밝은 밤에 갈대밭에 혼자 서서 눈물짓는 사람의 장면을 전제한 것이기에 언뜻 보면 달밤에 근거 없이 우는 청승맞은 사람꼴이다. 이 지점에 시의 역설(逆說)이 있다. 그가 우는 까닭은 속세에 있지 않고 우주에 있으므로.

우리는 왜 태어났는가?

이 물음에 딱 부러지는 답을 얻지 못한 채 수백 만 년의 세월이 흘렀다. 지금도 답을 얻지 못한다. 그렇기에 환한 달빛 아래 그는 눈물짓는다.

 

사실 이 시는 매우 단순한 구조로 돼 있다. 3개 연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1연과 2연의 내용이 거의 같다. 1,2연 모두 환한 달빛 속에서/갈대와 나는/ 있었다.’라는 단순반복인 것이다.

간단하게 썼으면서 그 내용은 우주적인 시. 천상병 시인의 대표 시는 이 시로 삼아야 한다.

 

그림 = 김춘배 화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