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전이다. 무심이 척박한 골짜기 땅 800평을 장만했다는 사실을 모임자리에서 털어놓자, 지인(知人) 봉명산인이 관심을 보이며 말했다.

그 땅의 풍수지리를 봐 드릴까요?”

약속한 날에 현장에 나타난 봉명산인. 전문 지관(地官)처럼 둥근 풍수 지남침까지 지녀서 무심은 내심 놀랐다. 하긴 봉명산인은 세상사 모르는 게 없는 도사 같은 사람이다.

그는 풍수 지남침을 들고서 골짜기 땅의 방위와 형세를 유심히 살피더니 이튿날 A4용지 두 장 분량의 글을 써 이메일로 보냈다. 이를 테면 무심이 모처럼 장만한 땅에 대한풍수 보고서이다. 전문은 나중에 기회가 될 때 블로그에 올릴 예정이며 그 중 일부만 발췌해서 여기 옮긴다.

 

(상략)

2. 밭의 위치가 대룡산 구봉산의 지기와 오봉산의 원기를 모두 받아 대와 기운이 적당히 세며, 땅의 모양새와 구릉이 마치 공작이 알을 품어 부화시킨 후 푸드득 날아간 이른바 '공작포란형'이라 포근하게 안겨있는 풍수라서 사람의 성정을 또한 부드럽고 안돈시키게 하는 지풍을 지니고 있다고 여겨집니다.

3. 일조(햇볕)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산세가 아주 높지 않아 동남향의 해를 크게 가리지 않고 서북 방향으로 부채꼴 모양 툭 터져 있어 서남향 쪽 일조를 대부분 끌어들이면서 지는 해까지 볼 수 있으므로 아침 8~석양까지 충분히 하늘 기운을 담아낼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앞쪽이 지세의 기운(地氣)을 함부로 방출하기 쉬운 부채살모양이라 안팎으로 탈이 나기 쉬운 형상이니 입구의 적당한 곳에 비보(備補) 풍수 차원에서 밭에서 나오는 돌을 모아 돌탑을 쌓거나 솟대나 장승 모양이라도 두세 개 해두면 보기도 좋고 그런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하략)

 

 

요약한다면 장만한 땅이 길지(吉地)가 분명한데 다만 복이 밖으로 새나갈 우려가 있으므로 한 군데 비보(裨補)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무심은 얼마 후 골짜기 땅에 중장비를 동원해 밭으로 만들 때 부수적으로 나온 돌들을 밭 입구에 따로 모아놓음으로써 춘심산촌 농장의 비보 문제를 해결했다.  

비보 풍수.

풍수지리 상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준다는 개념이다. 이런 비보가 잘 이뤄진 곳 중 하나가 양양의 조산(造山) 마을이다. 낙산 옆 조산리. 그 지역 땅의 기운이 좋은데 다만 바다 쪽으로 새나갈 우려가 있으므로, 마을 주민들이 협동으로 작은 산 하나를 만들어 놓아 그 우려를 불식시켰단다.

 

춘심산촌의 비보로써 농장 입구에 돌무더기가 만들어진 지 어언 7년이다. 돌무더기가 높지 않지만 비보는 상징적인 활동이라 그 정도로 충분하다.

비보가 이뤄지자 묘목도 심지 않았는데 나무 하나가 그 옆으로 자리잡더니 잘 자라고 있다. 그뿐 아니다.  농장에 작은 컨테이너 창고를 들일 일이 생겨, 처음에는 농막 옆에 두려 했지만 우여곡절 끝에 비보 돌무더기 옆에 둘 수밖에 없게 되었다. 심지어는 가로등까지 비보 가까이에 세워지게 돼 돌무더기 일대는 저절로 막강한 기세를 띤다.

여하튼 비보의 중심은 돌무더기다. 돌무더기 자체에도 놀라운 일이 생겨 여기 소개한다.

어느 날 춘심산촌 이웃에서 농사짓는 분이 무심한테 놀란 얼굴로 말했다.

글쎄, 어제 길이가 두 발은 될 무서운 독사 한 마리가 저 돌무더기 속으로 유유히 들어가더라니까! 훤한 낮에 그러니 우리가 얼마나 놀랐겠소!”

그가 말한 우리, 그의 농막에 자주 놀러오는 분들을 포함하는 말이다. 혼자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까지 함께 목격한 객관적 사실임을 강조한 거다.

무심은 그 얘기를 듣던 순간 그 무서운 독사가 지킴이임을 알아챘다. 지킴이까지 자리 잡은 춘심산촌 입구의 비보 돌무더기. 밭의 복됨이 한 치도 새나갈 수가 없게 되었다.

그 후로 무심은 그 돌무더기 옆을 지나갈 때마다 각별히 조심한다. 특히 여름에 잡초가 무성해질 때 발아래를 조심한다. 자칫 그 독사를 밟았다가는 큰일 나기 때문이다. 어디, 지킴이 독사가 밭주인을 알아보랴. 그저, 서로가 조심하면서 일대의 평화를 유지하면 그만인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