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는 대문 따위를 두지 않고 그냥 농사를 지었다. ‘대문 따위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 보기 좋은 숲속 풍경에 괜히 대문 같은 걸 만들어 달아서는 안 되다는 생각이었다. 그런데 가끔씩 외지인들이 불쑥 농장으로 들어와 두리번거리다 가는 일들이 생겨나면서 우리 부부의 생각이 달라졌다. 밭의 작물이야 옥수수와 배추 정도라 큰 걱정이 안 되지만 문제는 프라이버시 침해였다. 마치 우리 부부가 외지인들의 구경거리라도 된 듯싶어 마음이 편치 않았다.

우리 춘심산촌에 대문을 달자.’는 결심은 그런 배경에서 나왔다.

 

그렇다고 주택가처럼 대문을 달 수는 없었다. 대문을 달려면 먼저 밭 둘레에 담부터 둘러야 하는데 800평 밭 주위를 그리 한다면 소요되는 경비도 만만치 않을 테고 보기에 따라서는 우리 부부가 담에 갇혀 지내는 것처럼 보일 수 있었다. ‘간수는 죄수를 지킨다지만 생각에 따라서는 같은 공간에 갇혀 지내는 모습일 수 있다, 어떤 책에서 읽은 내용이 떠올랐다.

대문을 걸 일이 아니라면 대체물을 생각해봐야 했다. 우여곡절 끝에 지난 봄 현재의 차단봉이 우리 춘신산촌 농장 입구에 설치된 것이다.

 

 

처음에는 어떤 모양의 차단봉을 설치할지 판단이 안 섰다. 주위 분들한테 조언을 구했다. ‘주택이 아닌 농장 입구에 설치하는 차단봉이라는 우리 설명에 그분들은 한결같이 입산금지용 차단봉을 권했다. 그런 물건을 파는 곳을 수소문해서 찾아가 실제 눈으로 보니 세상에, 교도소나 군부대 입구에 놓는 삼엄한 형태였다. 그것을 춘심산촌 입구에 놓는다면 당장 부근에서 농사짓는 분들한테서위화감을 조성한다는 말을 들을 것 같았다. 참으로 농장 입구에 놓는 차단봉 하나 정하기도 만만치 않았다.

생각 끝에 쇠파이프를 취급하는 공장을 찾아갔다. 쇠파이프만으로 이뤄진 현재의 차단봉 형태가 내 머릿속에서 구상을 거쳐 종이에 그려진 직후다. 정확하게 그 길이까지 자로 재서 적었으므로 공장 직원이 긴 철봉 하나를 골라, 두 토막을 낸 뒤 종이에 그려놓은 형태대로 용접함으로써 마침내 차단봉이 완성됐다. 그 때 공장 사장이 말했다.

그런데 이것을 어떻게 실어가려우?”

우리 차는 산타페다. 뒷문을 열어 차단봉을 싣고 가려 했으나 공간이 좁아 차단봉의 반 이상이 밖으로 삐져나왔다. 그대로는 운반하기 어려워보였다. 사장이 이어서 말했다.

손님들이 항상 그래요. 구상한 물건을 만드는 데만 신경 쓰느라고 막상 만들고 난 뒤에 그것을 실어 나르는 단계에서는 당황한다니까요.”

우리 부부 역시 그 말에 당황했다. 내가 그에게 물었다.

그럼 어떡해야 하나요?”

용달차라도 불러야죠.”

난감해진 남편 대신 눈치 빠른 아내가 웃으며 나섰다.

사장님. 담뱃값을 드릴 테니까 여기 트럭으로 실어다 주시면 안 되나요? 우리 농장이 멀지 않거든요.”

 

 

마침내 춘심산촌 입구에 들어선 자 모양의 차단봉. 아내가 은빛 페인트까지 바르자 단번에 아름답게 빛나는 시설물이 되었다. 그 후 불시에 외부인이 춘심산촌 농장에 들어와 두리번거리다 나가는 일이 사라졌다. 그 부분은 마음이 편해졌는데 다만 부근에서 농사짓는 분들한테는 조금 미안한 감이 드는 걸 어쩔 수 없다. 아무래도 소통을 막는다는 뜻의 차단봉이라는 삭막한 이름 때문인 듯싶다. 그렇다면 다른 좋은 이름이 어디 없을까? 정 없으면 정낭이라 할까?

 

 

*‘정낭은 제주도에서 대문 역할을 하는 설치물이다. 집 입구의 양쪽에 구멍 뚫은 돌을 세우고 사이에 나무를 가로로 걸쳐놓은 것이다. 얼마나 단순한 형태인지, 집을 지킨다기보다는 프라이버시를 존중해 달라는 뜻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9-02-27 17:1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