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년도 초겨울, 예비고사가 끝난 날 자취방에 모여서 소주 파티를 벌였던 미술 문학 연합 팀 5명 중 둘이 먼저 저 세상으로 갔다. 종열이와 학천이다. 그나마 종열이는 친구들의 애도 속에 삶을 마감했지만 학천이는 그렇지 못했다. 85년경 낙향해서날마다 술만 마시다가 병을 얻어 급작스레 세상을 떴다는 안타까운 소문이 그의 마지막이라니 참 어처구니가 없다.

이학천’. 내 기억이 정확하다면 그의 한자 이름은 李鶴川이었다. 우리보다 한두 살 위였다. 내가 그를 처음 만나기는 춘고에 입학한 67년도 봄 문예반에서다. 처음부터 친하게 지낸 것은 아니었다. 우선 고향과 출신중학교가 달랐다. 나는 춘천 토박이에 춘중을 거쳐 춘고에 들어왔고 그는 인제 출신으로 인제의 어느 중학교를 거쳐 춘고로 들어왔다. 외모만 봐도 나이가 나보다 훨씬 위로 보여서 친근감을 갖기 힘들었다. 그러다가 결정적인 계기로 급격히 친해졌으니 그 해 가을 도교육위원회에서 주최한도내 고등학생 대상 예능 실기대회, 문예 부문에 학교 대표로 함께 선정된 일이다. 대개는 2학년이나 3학년 생 중에서 학교 대표를 정하는데 그 해는 달랐다. 담당교사인김병덕 선생님이 이런 선정 원칙을 발표한 것이다.

선배라 하여 선정된다는 게 말이 안 된다. 실제 실력으로 선정돼야 한다. 문예부원들은 이번 주 내로 각자 쓰고 싶은 글 한 편씩 써서 내게 제출해라. 그 글들을 보고서 산문과 운문 별로 각 한 명씩 학교 대표를 선정하겠다.”

그랬더니 뜻밖에 산문부로는 내가, 운문부로는 학천이가 선정된 것이다. 공교롭게도 둘 다 1학년생이었으니 문예반 23학년 선배들의 체면이 한순간에 꾸겨지고 말았다. 김병덕 선생님의 특별한 선정에 부응하듯 얼마 후 홍천에서 열린 대회에서 학천이는 운문부 장원 상을, 나는 산문부에서 장려상을 받았다.

그 일을 계기로 학천이와 나는 급격히 친해졌다. 아니, 수정한다. 그 일을 계기로 나는 학천이를 내 문학수련의 모델로 삼고 따랐다. 같은 1학년이긴 하지만 도 실기대회 첫 번 참가에장원이라니. 게다가 학천이 사는 모습은 소문으로나 들었던 문학하는 사람의 전형이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태원이도 나와 똑같이 기억한다.

우선 학천이는 가난했다. 우스운 얘기 같지만 당시가난은 문학인의 첫 번째 필수조건처럼 여겨졌다. 학천이는 인제 시골에서 농사짓는 부모님이 부쳐주는 월() 생활비가 넉넉지 못했고, 그마저도 늦을 때가 잦아서 효자동에서 하는 자취생활이 궁핍하기 짝이 없었다. 내가 일요일에 그의 자취방을 찾아가면 밥 대신에 간장을 몇 방울 떨어뜨린 냉수 한 사발을 끼니 삼아 들이키고서 온기 하나 없는 차가운 방이불 속에 누워 있었다. 가난한 모습으로만 일관했다면 나는 교동 우리 집에서 걸어서 한 시간 가까이 걸리던 그 자취방을 그만 다녔을 게다. 학천이는 그런 모습으로 문학하는 이의 풍모를 잃지 않았던 것이다. 배를 굶주리면서도 담배 피우기를 잊지 않았고 게다가, 소주나 막걸리도 틈틈이 마셨다. 그럴 때 방 한 구석에는창작과 비평같은, 전문문학인이 구독하는 잡지들과 습작시를 가득 적어놓은 대학노트가 사법고시생 대학노트처럼 가득 쌓여 있었다. , 쌀이나 연탄을 못 사더라도 문학을 향한 일념만은 대단했던 것이다. 그러니 막연하나마 소설가가 되는 꿈을 품은 내가 어찌 학천이를 존경하지 않을 수 있었을까.

그 점은 태원이도 마찬가지였다. 얼마 전에 만난 태원이가 한 말이다.

춘고 시절 학천이야말로 어떤 모습이 예술가의 모습인지를, 우리 미술반 친구들한테 보여주었지! 정말 그 친구가 꿈도 못 펴보고 그리 될 줄이야 누가 알았겠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