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퇴만 하면 글이 물 흐르듯 줄줄 쓰일 줄 알았다. 실제는 그렇지 못했다. 혼자 서재에 앉아 컴퓨터를 켜 놓고서 글쓰기는커녕 인터넷 하며 시간을 보낼 뿐이었다. 뉴스도 보고 유투브 동영상으로 가수들이 노래하는 것도 많이 봤다. 어느 날은 갓 제대한 무명 가수가 기막히게 노래 잘 부르는 것을 지켜봤다, 그는 얼마 안 가 톱 가수가 됐는데 바로‘김범수’다. ‘사랑이 나를 또 아프게 해요’ 하며 시작되던 ‘하루’.

김범수가 부르는‘하루’는 사랑의 아픔이 주제였지만 명퇴한 내게‘하루’는 그저 막막한 시간일 뿐이었다. 집 밖에는 별나게 화창한 봄 햇살이 범람하고 TV 뉴스는 ‘노무현 대통령 탄핵’문제로 시끄러웠다.  

그런 어느 날 아내가 ‘먼 시골로 하루 출장 가는데 차를 몰아 달라’고 제의했다. 집안에 틀어박혀 지내는 남편이 폐인 될까 걱정한 때문이 아니었을까? 정말 오랜만에 아내의 일일 장거리 운전기사를 맡아 춘천을 떠났다.  

150리는 달려 도착한 시골 읍의 모 컨벤션홀. 정문 앞에 아내를 내려다놓고는‘오후 5시 반에 이 자리에서 다시 만나기’로 약속한 뒤 혼자서 여기저기 차를 몰고 다니며 시간을 보냈다. 뜻밖에 생각도 못한 시설물들이 시골에 있었다. 그 중 하나가 개인이 폐 분교를 분양받아 차린 미술관이다. 내가 차를 주차장 (예전에는 운동장이었으므로 그렇게 널찍한 주차장도 없었다. 주차된 차라고는 낡은 중형차 한 대뿐. 나중에 깨달았는데 그 차는 미술관 관장의 차였다.) 나무그늘에 주차시킨 뒤 미술관 안으로 들어서자, 화가이자 관장 되는 분이 몸소 반가이 맞았다. 꽤나 적적해서 방문객을 학수고대했던 게 아닐까. 관장실로 나를 안내하더니 커피를 대접하며 자신의 대단한 작품 활동을 자랑하기 바빴다. 하지만 내가 보기에 어째 작품들이 기대에 못 미치는 미흡한 수준이었다. 거두절미하고 단도직입적으로 물었다.

“제 친구도 화가인데 이름이 ‘전태원’입니다. 아십니까?

관장이 고개를 갸우뚱했다. 그럴 만했다. 그는 강원도 사람이 아니고 먼 남쪽지방에서 온 사람이었다. 그래도 그렇지, 강원도에 와 화가를 자임하면서 ‘전태원’을 모른다니 더 대화 나눌 게 없었다. 나는 ‘참, 제가 다른 바쁜 일이 있거든요’ 하며 간단히 인사하고는 자리에서 일어나 밖으로 나와 버렸다.

 

그 봄이 가고 여름을 지나 가을이 되었다.

나는 여전히 글 한 줄 안 쓰이는 공황(恐惶) 속에서 지내고 있었다. 전년도 늦가을, 명퇴 신청을 생각할 때다. 모처럼 만난 명퇴 선배 태원이가 내게 말했다.

 

“명퇴, 다시 잘 생각해 봐. 물론 나는 명퇴했지만 그렇다고 너도 명퇴하라는 말은 못하겠어.

뜻밖의 말에 나는 당황했다. 그의 말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하지만 결국 내 결심대로 명퇴하고 만 것이다. ‘직장 생활만 그만 두면 소설이 술술 쓰일 텐데 무얼 망설여?’하는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니 글 한 줄 쓰이지 않는 현실에 자존심 상 태원이한테 내가 먼저 전화 걸어‘만나서 술 한 잔 하자’는 제의를 할 수 없었다. 그랬더니 태원이는 여전히 감감무소식인데‘이종렬’이 나를 찾았다. 모르는 전화번호가 휴대폰에 떠서 받았더니 종렬이 목소리였다.

“태원이한테 얘기 들었어. 명퇴해서 글을 쓴다며? 잘했어. 너는 진작에 직장을 관두고 글을 써야 했어. 그 길이 너한테 맞아. , 만나서 자세한 얘기 나누자.  어느 술집에 잘 가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