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바뀌었다. 200434일이다. 춘천에 때늦은 폭설이 내렸다. 그 날 일을 당시 일기에서 찾아냈다.  

‘태원이한테 전화해서 저녁 630분에 후평동 투다리에서 만나기로 약속했다. 6시가 넘자 눈발이 흩날리기 시작했다. 최종걸이가 강촌에 있는 작업실에서 일을 마치고 귀가할 때 우리 집 앞에 차를 세우기로 한 약속을 지켰다. 그의 차에 동승해 후평동 향군회관 동네로 갔다. 차를 동네 뒷골목에 주차시켜 놓고 투다리에 들어가 태원이도 만났다. 오랜만에 만난 우리 셋은 술을 마시며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었다. 2차로, 부안시장 부근의 막걸리집으로 자리를 옮겼다. 생태찌개를 안주로 술을 더 마셨다. 술자리를 끝내고 헤어졌는데 초저녁부터 시작된 눈이 어느 새 폭설로 변해 있었다.(하략)

최종걸은 조각가다. 1969년 예비고사가 끝난 뒤 모여서 소주 파티를 벌일 때 함께했던 미술반 친구다. 종걸이는 대학에 강의 나가는 신분이고 태원이는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에 전념하는 처지고 나는 막 사흘 전에 명퇴한 입장. 오랜 인연의 미술반 친구들과 부안시장의 막걸리집 앞에서 헤어진 뒤 애막골 고개 너머로 귀가하려할 때 그 엄청난 폭설. 평소라면 껌껌했을 밤하늘이 눈발로 희뿌옇게 보일 정도였다.

후평동이 춘천에서 지대가 낮은 ‘뒤뚜루임’을 깨달았다. 가파른 애막골 고개를 피해 8호 광장 쪽의 덜 가파른 고개로 가는 귀갓길을 생각해 봤지만 그만큼 거리(距離)가 마냥 길어지는 데 따른 위험이 있었다. 그렇다면 두 고개를 그만 두고 강변도로로 가는 귀가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봉의산의 그늘진 뒤편인 데다가 소양강에 밀접한 도로라 빙판길로 변했을지 몰랐다. 결국 처음 생각대로 가파른 애막골 고개 쪽으로  귀가를 서두를 수밖에 없었다. 내리는 폭설은 습설(濕雪)이었다. 내 머리고 상의고 이내 눈에 젖어갔다. 천운처럼 그 방향으로 가는 빈 택시 하나를 잡았다. 차 문을 후닥 열고 타며 말했다.

“남춘천역 부근 동네까지 갑시다.

운전기사가 운전대를 잡고서 잠시 침묵하다가 말했다.

“이거 참! 영업을 포기하고 그냥 돌아갈 참이었는데.

이럴 때 내가 머뭇거려서는 안 된다. 손수건으로 눈에 젖은 내 몰골을 훔치며 간곡하게 부탁했다 

“길바닥에 얼어붙는 눈은 아니니까, 가죠. 저 고개만 넘으면 될 것 같은데요. 나오는 요금보다 더 드리겠습니다.

“요금이 문제가 아니라… 좋습니다. 다만, 가다가 길이 더 안 좋으면 손님이 중간에 내리실 수도 있습니다.

내가 고개를 끄덕여 수긍하는 모습을 기사가 룸미러로 보았다. 출발했다. 신호등이 점멸등으로 바뀐 채 위에 얹히는 눈발로 왠지 위태로워 보였다. 어느 곳에선가 앰뷸런스의 사이렌 소리가 울렸고 시내버스와 자가용차가 접촉사고를 낸 채 도로변에 있었다. 버스에 탔던 손님들이 다시 내리면서 흰 눈을 뒤집어쓴 듯한 모습들로 우왕좌왕했다. 인공폭포 부근 사거리를 지나 애막골 고개 밑에 다다르자, 바퀴가 눈길에 묻혀 헛도는 차들이 여기저기 보였다. 내가 탄 택시가 아직은 별 일 없으나 과연 저 가파른 고개를 올라갈 수나 있을지.

이제 돌이켜보면 폭설 내리던 200434일 밤의 막막함이 내 명퇴 후 방황의 암시 같았다.


 

*알립니다. 지난 20167월에 첫 번째 소설집으로 ‘숨죽이는 갈대밭’을 발간한 바 있습니다. 올해 말경에 두 번째 소설집 ‘K의 고개(가칭)’를 발간할 예정입니다. 강원문화재단의 전문예술창작지원 사업으로 선정된 일입니다. 기한이 두 달여 남았습니다. 그에 따라 당분간 관련 원고 정리 차 ‘친구 전태원 화백’ 수필 연재를 멈춥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