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가 바뀌어 2000년이다. 명퇴 신청 기회가 다시 왔다. 나는 고민 끝에 명퇴를 신청하지 않았다. ‘명퇴한 후 내가 좋아하는 글만 쓰며 살겠다’는 결심에 자신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전년도에 내가 명퇴를 신청했을 때 어머니가 밤잠을 못 이루고 힘들어하는 것을 겪으면서 비롯된 일일 수 있다. 어머니는‘남편의 장기간 실직으로 고생하며 살았던 시절이 떠올라’한동안 안절부절 못했다. 8년 전에 뇌졸중으로 세상을 뜨고 없는 아버지이지만 여전히 우리 집 내력 속에 존재했다.

신산(辛酸)한 삶의 후유증일 게다. 2003년 초에 어머니가 암으로 돌아가셨다. 당시 나는 홍천의 모 고교에 있었다. 어머니 장례를 치르고 1년 지나 나는 명퇴했다.

명퇴 신청을 앞두고 이런저런 생각이던 2003년 가을의 일이다. 태원이가 개인전을 연다고 안내장을 학교로 보내주었다. 장소는 옥천동의‘춘천미술관’. 오랜만에 얼굴도 볼 겸 찾아갔다. 1026일 일요일이었다.

태원이는 만나보지 못하고 전시장 여기저기 놓인 바위들만 보았다. 실제 바위인 줄 알았는데 한 가닥 가는 줄로 허공에 매달아놓은 것까지 있어 이상한 생각에 가까이 다가가 살폈더니 세상에, 신문지 같은 종이를 잘게 조각내 바위처럼 만들어 놓은 작품이었다. 뒤늦게 안내장을 다시 봤다.

The STONE A SHORT STORY OF ETERNITY'

해석한다면 ‘바위― 영겁의 짧은 이야기’라고나 할까. 편하게 감상할 수 있는 풍경화나 인물화가 아니었다. 감상하는 이에게 의문부터 갖도록 한 뒤 여러 생각에 잠기게 하는 바위 모양 조형물들. 깊어가는 가을 날씨에 한기마저 느끼며 나는 왠지 장소를 잘못 찾아들어선 이방인 같았다.

오랜 세월이 흐른 이제 그 가을 춘천미술관에서 몸뿐만이 아니라 내 마음까지 한기를 느꼈던 까닭이 밝혀졌다. 여러 가지가 복합돼 있었다. 우선 아내한테도 말하지 않고 나 혼자서 명퇴 신청을 생각하고 있었던 마음의 쓸쓸함이다. 이유야 어쨌든 직장을 그만 둔다는 건 결코 마음 편한 일이 못됐다. 그 다음이 바로 열 달 전 어머니가 병석에서 고통스레 삶을 마친 데 따른 상실감이 아니었을까? 어머니가 마지막 숨을 거둔 순간 나는 고아가 됐음을 절감했다. 생각도 못한 일이었다. 그리고 세상에 이럴 수가. 내 잠재의식의 어두운 바닥에서‘그 전시장이 다른 곳이 아니라 우리 집 내력과 깊게 인연을 맺은 공간이었다’는 사실까지 뒤늦게 떠올랐다. 소스라쳤다.

 

춘천미술관은 예전의 춘천중앙감리교회를 리모델링해서 연 미술관이었다. 그 교회는 어느 한 때 춘천의 명소였고 바로 아버지 어머니가 결혼식을 올린 곳이었다. 그날의 장면이 담긴 빛바랜 사진 한 장이 내 앨범에 있다. 1948년 어느 봄날, 주위에서 뿌려주는 축하 꽃잎들을 수줍게 맞으며 서 있는 꽃다운 신랑 신부. 훗날 생계 문제로 질곡의 삶을 살 줄이야 꿈에도 몰랐으리. 그런데 오랜 세월 후 내가 그 결혼식장이었던 곳에서― 바위 모양 STONE들 앞에서 서성거리고 있었다. 기막힌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