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한 가지는 이제는 춘천의 명소가 된 ‘미스타페오’ 카페 작명에 얽힌 이야기다. 95년 어느 날,  태원이가 학교 복도에서 마주친 내게 웬 부탁을 했다.

“호숫가에 들어서는 카페인데 그 이름을 지어 봐.

“웬 카페야?

“와이프가 카페를 해보고 싶다 해서… 준비가 웬만큼 됐거든.

“그럼 시간을 줘. 작명이 되는 대로 말해줄게.

며칠 후 복도에서 다시 만나게 됐을 때 내가 지은 카페 이름을 얘기해 주었다. 무슨 이름이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순수한 우리 말 이름이 아니었을까? ‘그곳에 가면’같은. 태원이가 고개를 끄덕이며 반길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았다. 빙그레 웃더니 말했다.

“이미 지었어. ‘미스타페오’라고.

전혀 분위기 없는  그 이름에 나는 실망했다.

“‘미스타페오’라니, 그게 무슨 뜻이야?

“최영식이라는 한국화 그리는 후배가 추천한 건데 아메리카 나스카피 족이 쓰는 단어로써”

하며 설명해 주었다. ‘나스카피 부족은 가슴 속 심장 같은 불멸의 영혼을 미스타페오라고 부른다. 그들은 죽는 순간 미스타페오가 자신을 떠나서 다른 사람 가슴속으로 가 되살아난다고 믿는다’는 내용이었다. 글쎄, 경치 좋은 호숫가에 들어서는 카페라면 그런 생경한 이름보다는 ‘그곳에 가면’ 같은 발음하기 좋은 정서적인 이름이 낫지 않을까? 하는 속생각을 나는 했다. 10년 전 모교에서 추상화에 ‘가을의 끝’그림의 작명을 했던 나로서는 당연한 의문이었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태원이의‘미스타페오’라는 카페 이름 선택은 탁월한 선택이었다. 순 우리말 이름의 카페들이 즐비한 춘천에서 ‘미스타페오’는 그 독특한 이름만으로도 빛났다. 춘천 사람들은 물론이고 춘천을 관광 차 오는 외지 사람들까지 미스타페오 카페를 모르는 이가 있을까?

 태원이는 카페 작명 후 그 이상한 학교에 같이 근무했던 춘고 동기들을  카페로 초대하기도 했다. 호수 풍경이 그대로 밀려오던 그 넓은 유리창. 정원의 오래된 고목. 잔디밭에 떨어지던 부드러운 햇살. 우리는 미스타페오 카페에서 환담을 나누며 한 나절을 보냈다. 우리는 한창 나이 40대 중반이었다. 세월이 흘렀다. 그 중 한 명은 세상을 떴고 또 다른 한 명은 중병으로 누워 있다 하고… 먼 외국으로 이민 가 사는 동기도 있고 아예 소식이 끊긴 동기도 있다. 아아 인생무상 세월무정.

 

문득 미스타페오의 원저자인‘나스카피’ 부족이 궁금해졌다. 인터넷에서 검색해 봤다. ‘성지현’이란 분이 쓴 글에 나스카피 부족에 관한 일화가 들어 있었다. 이런 내용이다.

… 프랑스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들이 17세기 초에 북아메리카의 몽타녜-나스카피 족 인디언들을 처음 만났을 때 여성들이 성적으로 자유로운 생활을 하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한 선교사가 나스카피 족 남자에게 아내를 더 엄격하게 통제하지 않으면 그녀가 낳은 아이들 중 누가 자기 자식인지 알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자 그는 이렇게 대꾸했다. "당신들 프랑스인은 자기 자식만 사랑하지만 우리는 부족의 모든 아이들을 사랑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