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실 위에 미술실이 있었다. 태원이를 따라 미술실에 들어간 나는 추상화 한 점과 마주했다.

이 그림이야.”

태원이의 말에 우선 그림 감상에 들어갔다. 구체적인 사물을 그린 게 아닌 추상화라서 감상은 물론 제목 붙이기도 쉽지 않았다. 어쨌든 10여분쯤 감상한 뒤 그에게 말했다.

“‘가을의 끝이 어때?”

태원이가 천천히 고개를 끄덕였다. ‘가을의 끝그림은 그 해 강원미술대전에서 종합대상이라는 큰 영광을 태원이한테 안겨주었다. 그런 대단한 소식조차 한참 후에 알게 될 정도로 나는 정신없이 바빴다. 종일 수업에다가 야간자율학습 감독까지. 게다가춘고 60년사집필까지 책임졌으니한창 젊은 30대였기 망정이지 그렇지 않았으면 과로사 했을 게다.

가을의 끝

그림 사진을 지금 보면 당시 나의 고단한 삶이 떠오른다. 고단한 삶 저편에 어린 공허감마저 비친다. 특히 그림의 반 이상을 차지한, 무채색에 가깝게 처리한 가운데 부분. 가을의 특권인결실도 맺지 못하고 그대로 추운 겨울을 맞는 심정의 허탈함이 여실하게 나타나 있는 듯싶다. 태원이가 80년대 초 인물화에 집착하다가 벗어나기 시작한 시점의 한복판에가을의 끝그림이 등장한 게 아닐까.

국어교사와 미술교사로서 모교에서 만났다는, 뜻 깊은 기간을 그렇듯한 점 추상화에 제목을 붙여준 일한 가지 이외에는 생각나는 일이 없이 그냥 보냈다는 기막힘. 나의 무심한 성격 탓도 있겠지만 오직 학력제고 한 가지 목표로 휘몰아치던 삭막한 학교 분위기가 분명 한 역할 했다.

내가 모교에서 저 먼 영월고등학교로 떠난 때가 892. 그 후 5년 동안 서로를 못 봤다가 20043월에 다시 고향 춘천에서 재회했다. 이번에는 모교가 아닌 다른 학교에서였다.    

전태원 화백의 ‘가을의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