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즈음 춘천 시내 명동 풍경은 요즈음과 많이 달랐다. 우선 지나다니는 행인들이 많았다. 인파(人波)라는 단어가 실감났다. 게다가 허름한 길바닥이라니. 아스팔트를 깔았지만 기술이 부족했던지 여기저기 파이고 가장자리는 흙이 그대로 노출돼 있었다.

그로부터 반세기쯤 지난 요즈음 춘천 명동 풍경은 어떤가. 행인들부터 대폭 줄어들었다. 90년대에 지하상가를 만들어 놓으면서 적지 않은 행인들이 그리로 유입된 탓이다. 이제 인파라는 단어는 최소한 춘천 명동에서는 사용되기 어렵다. 길바닥은 예전의 아스팔트가 아닌 최신건설재료로 빈틈없이 포장돼 있어 흙 한 줌 발견할 수 없다. 글쎄, 그런 바뀐 풍경에 나는 숨이 콱 막힌다. 몇 년째, 웬만해서는 명동 거리에 나가지 않는 까닭이다.

종렬이 태원이와 함께 그 인간미가 넘치는 71년 여름의 어느 날 춘천 명동 거리에 나갔다. 넘쳐나는 인파 속을 헤쳐 나가다가 장난기 많은 종렬이가 문득 걸음을 멈추더니 내 귀에 대고 말했다.

잠시 후에 내가 태원이랑 법원 마당에서 한바탕 싸울 테니까 지켜봐.”

당시에는 법원이 명동에 있었다. 나는 종렬이가 한 귓속말이 무슨 뜻인지 알 수 없었다. 어쨌든 둘은 법원 마당으로 앞서 갔다. 그러더니 느닷없이 마주보고 서서 주먹 싸움을 대판 벌이는 게 아닌가! 처음에 나는 기겁했지만 이내 알아차렸다, 영화의 스턴트맨들처럼 가짜로 싸우는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언뜻 보면 죽기를 각오하고 주먹들을 날리는 것 같지만 잘 살펴보면 그런 흉내를 낼 뿐이라는 것을.

불구경과 사람들 싸우는 구경만큼 재미난 구경도 없다는 속설이 있다. 다른 곳도 아닌, 명동 거리에 접한 법원 마당에서 주먹 싸움을 벌이는 두 청년. 이내 구경꾼들이 몰려들었다. 섣불리 말릴 엄두를 못 내는 것은, 괜히 중간에 끼어들었다가 빗나간 주먹에 얻어맞을지 모른다는 불안감도 있고 솔직히 모처럼 좋은 구경을 중단시키고 싶지 않는 대중심리도 있었을 듯싶다.

5분 남짓 종렬이와 태원이는 거짓 결투를 연출했다. 더 시간을 끌었다가는 아마, 달려온 법원 수위한테 잡혀가지 않았을까? 둘은 구경꾼들이 에워쌀 정도로 모이자 돌연 결투를 중단하고 인파 속으로 달아나버렸다. 나도 어이없는 둘의 잠적에 기겁하여 찾아서 따라가기 바빴다. 간신히 따라잡은 종렬이한테 물었다.

왜들 그랬니?”

그냥.”

그 말에 웃고 말았다. 미술반 친구들은 그 여름, 한창 젊은 혈기들을 주체 못했던 게 아닐까? 푸른 화실의 작은 공간만으로는 그들의 해방 구역이 충분치 못하다고 판단한 게 아니었을까?

그로부터 3년 뒤 두 친구는 바다가 보고 싶어서불쑥 여행을 떠났고 그 과정에서 삼척중학교 교사로 있는 나를 만난 것이다. 그 때까지만 해도 나는 태원이보다는 종렬이와 더 친했다. 그런데 7년 뒤 외수형 집에 갔다가 목격한 특이한 인물화 때문에 태원이를 각별하게 인식하게 되었다. 19811월 어느 날이다 

전태원 화백의 ‘The Wave 시작도 끝도 없는‘ (2018.09.04. ~09.16.) 전시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