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그라퍼 강상규님한테서 춘심산촌붓글씨를 받는 순간 무심은 그 멋짐에 반했다. 그 까닭을 이제 분석해봤다.

첫째, 네 글자의 전체모임이 황금비율을 생각나게 할 만큼 편안한 구도였다. 우리는 가로로 놓인 두 눈으로 사물을 보며 그렇기에 가로 방향으로 놓인 직사각형, 정확히는 세로 길이와 가로 길이가 1:1.618 비율로 된 황금비율 형태를 아주 편안하게 여긴다. 참고로 명함, 신용카드, TV 화면 등이 이 황금비율을 따랐다.

둘째, ‘춘심산촌의 낱글자들 모두 울림소리 받침을 갖고 있었다. ‘, ‘, ‘, ‘이 모두 울림소리라 입으로 발음할 때 저절로 리드미컬할 수밖에 없었다.

셋째, ‘춘심산촌에 쓰인 붓글씨들의 살아 있음이다. 네 글자 중 세 글자나 받침이 이되 그 중 하나도 같은 모양의 은 없었다. 첫 글자 이 별나게 크게 쓰여서 전체의 균형을 깨뜨려버릴 것 같았지만 웬걸, 셋째 글자 과 넷째 글자 에서 비록 작지만 잇달아 쓴 들의 중첩으로 무게 균형을 이루었다. 변화를 주되 균형을 잃지 않은 기막힌 배치다. 하긴 도 두 번 쓰였지만 모양이 전혀 닮지 않았는데또한 마찬가지다. 사물의살아있음은 변화로 나타난다.

네 글자에 불과한 춘심산촌이지만 캘리그라피로 쓰인 순간 변화가 주()가 되어 봄기운이 만연한 산촌의 정겨움이 구현됐다.

 

우리 한글은 소리글자. 낱글자로는 그 뜻을 알 수가 없는 것이다. 예를 들어이라 썼을 때 무슨 뜻의 인지 알 수 없다. ‘물건을 산인지, ‘나이가 90이 되도록 산인지, ‘동네에 있는 산인지 알 수 없는데 만일 한자로이라 적는다면 그 뜻의 모호함은 순식간에 사라진다.

나는 캘리그라피를 소리글자들이 뜻글자들의 고유영역을 넘보는 작업이라 정의하고 싶다. 캘리그라피 춘심산촌을 보라. 어울리지 않게 크게 쓴 은 마치 봄날의 부푼 마음 같지 않은가. 그 다음의을 보자. 앞 글자의 반밖에 안 되게 작게 썼는데 그만큼 소박한 마음처럼 보인다. 첫 글자 에서 마냥 부푼 마음을 두 번째 글자에서 살그머니 붙잡아 준 게 아닐까. ‘자유를 존중하지만 그렇다고 방종은 금물이라는 경구를 연상케 한다.

특히의 받침의 아래 획이 삐친 모양은 보는 무심을 절로 미소 짓게 만든다. ‘받침들 속에서 유일한이지만 그래도 의 형태를 흉내 내며 전체 조화에 일조하겠다는 마음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아마 영어 알파벳으로도 캘리그라피가 이뤄질 게다. 하지만 초중성을 갖춘 우리 한글에 비해 그 기술이 1/3에 머물지 않을까 싶다. 그러잖아도 한글이 디지털시대를 만나 날개를 얻은 듯 승승장구하는데 이제는 캘리그라피까지 만나면서 날개 하나를 더 달았다는 무심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