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 거절술 - 편집자가 투고 원고를 거절하는 99가지 방법
카밀리앵 루아 지음, 최정수 옮김 / 톨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다양한 거절들]
‘프랑스아카디 상’ 과‘앙토닌 마예 아카디 비 상’을 수상한 작가가 지금까지 받아왔다는 99개의 출판 거절 편지를 모아놓은 책이라는데, 일단 재미있다.
거절의 이유는 다양하다. 작가의 자질이 없어보이니 다른 직업을 찾으라 비난하거나, 혐오스럽다며 종이를 더럽히지 말라고 질책하거나, 그것도 아니라면 부디 용기를 내시라고 격려 하거나 (이 낙관주의 편지는 제3자가 봐도 너무나 다정하다. 그런데 이런 일이 2번 3번 계속되면 어떻게 될지 모르지...).
[황당한 이유들]
이런 일상적인 거절들부터, 해당 작품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겸손, 또는 당연히 자신들을 버리고 다른 더 큰 출판사와 계약하리라는 상대의 망상으로 인한 거절이나. 음란한 장면이 “안 나와서” 문제는지적, 또는 사상이 잘못되었다고 비난하거나 말이다. (노동자여 단결하라! 또는 무정부주의, 만세!) 와 같이 아주 다양한 종류의 비난과 거절이 나온다. 원고를 잃어버린, 당황스럽지만 일상적인 모습도 더해서 말이다.
[개인적으로 무슨 말인지 모르지만 베트남어가 압권이었다. ^^;;]
[그러나 누구나의 삶]
그런데 이렇게 재미있는 몇몇 편지를 제외하면, 이 거절들, 분명 어디선가 봤던 것 같다. 학창시절이든, 사회생활에서든 어떤 방식으로는 들었을 거절들. 그래서 소설을 쓰지 않는 사람들도 이 편지들에 공감하기는 어렵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보고서가 교수님들에게, 또는 윗선에서 거절당하거나, 비평 받을 때, 혹은 내가 심혈을 기울인 작품이 남들에게 비판받을 때 그 유형을 생각해보면 많은 경우 ‘소설 거절술’ 법위 안에 들어간다. 혹은 페미니즘이나 마르크스주의처럼 어떤 사상에 부합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타인을 비난하는 모습도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페미니즘이 그른 것이라는 말이 아니다. 책 146쪽을 보면 페미니스트가 작품을 비판하는 내용이 있다. [남장을 하고 남자를 이해하는 과장에서 여성혐오주의자가 될 뻔 했다는 노라 빈센트까지는 아니더라도] 양성 평등을 위한 페미니즘은 옳으나 양쪽 보두 더 넓은 시각에서 볼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다. 이점은 공산주의에도 해당 되겠지.)
그래서 더 끌리게 된다. 나만 이런 거절당한 게 아니구나! 나만 그런 혹평 받은 게 아니구나!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용기]
편지를 읽다보면 내가 만든 결과물로 인해 받게 될 비판이 두려워 시작하지 못하던 일들에 대해 다시 도전해볼 용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착오’편을 보면 일반 철물점 주인이 잘못 배송된 작가의 원고를 받고 쓴 편지가 나오는데 책 말미에 보면 그 이후 철물점 상인이 작가의 책가 감동해 쓴 소설이 출판에 성공했다는 편지가 나온다.) 아니라면 적어도 웃으며 읽었던 이 책을 통해 앞으로 듣게 될 비난을 조금 더 초연하게 듣고, 새로운 일을 시작할 힘까지도 얻었다면 충분히 의미 있든 독서일 것이다.
오늘도 내일도 거절당하고 비난받았을, 거절과 비난을 앞으로도 수없이 받게 될 예비 작가에게, 그리고 거절당해 낙심하려는 이들에게, 오늘도, 내일도 심혈을 기울인 모든 작품이 거절당할 모든 이들에게도... 저자는 말한다.
“부디 용기를 내시라.”고.

젊은 무명작가 앞에 도사리고 있으나 정작 본인은 알지 못하는, 당신이 방금 읽은 편지들과 같은 위험으로부터 당신을 구하는 데 이 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란다. 그리하여 이것을 나의 유작이자 문학에 대한 유일한 공헌으로 여겨주시길.
199쪽 맺는말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