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산 정조대왕 - 조선의 이노베이터
이상각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정조의 화성 을묘원행으로 장을 시작하여 정조 사후, 정조의 노력들이 물거품이 되기까지의 상황을 정조의 치적을 중심으로 엮었다. 정조께서 한강을 건너 을묘 원행을 따라가면서 화성에 도착하는 대목을 날짜별로 상세히 기록해둔 것은 마치 함께 그 길을 따라가는 듯하다.
그러나 이 책이 주는 아쉬움은 첫째로는 문체이다. 독자들에게 읽기 좋도록 배려를 한 의도로보이지만, 좀 가벼운 느낌이 든다. 물론 정조의 성격이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정조의 삶이 그리 가볍겨 느껴지지 않는 탓일까...왠지 불쑥 불쑥 그런 생각이 들이 읽는 맛을 감소시킨다. 도움이 되려고 한 의도가 되려 찬물을 끼얹고 있다는....
정조와 정약용은 분리해서 생각하기가 어려운 인물이다. 정조에 의해 관복을 입었고, 정조 사후 종순왕후에 의해 변을 당한 인물인지라 정약용의 활약상을 잘 살펴주고 있다. 이점은 정약용의 재능을 다시 한 번 주지할 수 있게한다.
정조의 시대는 당쟁의 시대였다. 정조와 당쟁의 그 긴박한 정황들이 주는 긴장감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그 이유는 내용을 대화체로 전달하려는 시도가 많이 등장하는데 저자의 화법이 주는 어색함이 그러하고, 내용에 담았으면 하는 대목들이 대거 누락된 느낌이라 허전하다.
'조선의 이노베이터'라는 부제가 가지고 있는 이 책은 정조의 개혁과 치적을 중심으로 하고있다. 파란 만장헸던 정조의 일대기를 모두 담아내기에는 지면의 한계가 있을 테지만 금난전권의 폐지를 추진하는 정황은 더 좋은 내용으로 폐지의 당위성을 조명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한다. 그 어떤 내용보다 조선의 권력과 경제가 서로 맞물려있어 정조와의 긴장감을 잘 나타내 줄 수 있는 대목이기에 하는 말이다... 강조해 주어야 할 부분에서는 강조를 해주는 것이 어땠을까...
혜경궁 홍씨를 다른 대목은 주목할만하다. 유려하고 섬세한 필체로 한국 산문문학의 정수라고 일컬어지며 사료적인 가치가 있는 궁중문학이라는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여러가지 정황으로 미루어 볼 때,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은 그 의도가 분명하다. 사도세자의 죽음에 관련한 의문들을 변명하며, 몰락해가는 홍씨가문을 지켜내려 안간힘을 쓴 결과물이라는 것은 아시는 분은 다아실 것이다.
물론 혜경궁 홍씨도 당쟁의 희생자일 수가 있다. 그러나 권력의 핵심 세력이었던 홍봉한은 사도 세자의 죽음에 배후인물로 지목되고 어쩌면 가문이 멸문을 당할지도 모르는 심리적인 불안에서 사도 세자의 죽음에 대한 변명 일색의 매우 편협한 내용이 많다. 한중록은 결과적으로 아버지의 당이었던 노론들을 응원하며 감싸는 의도가 분명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니 당시의 정황을 객관적이고 진실되게 적었을기가 만무하지 않은가? 그녀의 진실은 진실이 아닐 수도 있다...그녀의 말을 그대로 믿어서는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저자는 이부분을 좀더 명확하게 설명했어도 되었지만, 너무 미약한 느낌이다... 너무 강렬해도 못쓰겠지만 너무 미지근해서 독서의 재미가 반감되었다.
여하튼... 개혁정신을 우리가 배울 수 있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정조는 분명 존경받지 않을 수 없는 임금이다. 능력을 중시하며 서얼들에 대한 편견도 없애려했다. 국가를 위해 일하는데 신분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정조의 생각과 백성을 위한 정치가 무엇인지 가늠케 하는 도서이다...
아쉬운 점은 사료의 부족을 많이 느끼며 책을 읽었다는 점이다. 더불어 저자의 톤이 이 도서에는 잘 맞지 않는 듯하다. 그래서 여러군데 어색했다.
그러나 정조를 중심인물로 조명한 도서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