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서의 ‘여는 글’과 ‘서문’을 읽었는데, 역자는 직역하는 스타일이 강한 듯 보인다. 스몰린의 유려한 구어체 문장이 딱딱한 문장으로 번역된 듯 싶어 좀 아쉽다. 예컨대, 서문Introduction의 첫 번째 문장이다.
“The scientific case for time being an illusion is formidable.”
기존의 관념에 대해 위와 같이 선언하며 스몰린은 시작한다. 역자의 번역은 이렇다:
“시간의 존재가 환상이라는 것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사례는 강력하다.”
잘못된 번역은 아니지만, 원문의 간결한 문장이 번역되며 딱딱한 느낌이 들고 늘어진다. 어찌 보면 원문에 충실하고자 하는 우리말 번역이 피해가기 어려운 함정인 것 같다. 난 최대한 간결히
“시간이 환상임을 지지하는 과학적 근거는 강력하다.”
와 같이 했으면 어떨까 싶다. 번역문 “시간의 존재”에서 “존재”란 단어는 있을 이유가 전혀 없다.
저자는 같은 관점을 공유하는 로베르토 망가베이라 웅거의 글을 인용하는데, 번역문은 이렇다.
“당신은 현재 우주의 속성을 추적하여 태초에 우주가 분명 갖고 있었을 속성을 알아낼 수 있다. 그러나 당신은 이 속성들이 어떤 우주라도 가질 수 있었던 유일한 속성임을 보여주지는 못한다. ... 그보다 더 이르게 혹은 더 이후에 등장한 우주들은 완전히 다른 법칙을 따를 수 있다. ... 자연법칙을 기술하는 것은 가능한 모든 우주의 가능한 모든 역사를 기술하거나 설명하는 것이 아니다. 한 번 일어나는 역사적 계열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법칙적 설명과 서사 사이에 오직 상대적인 구분만이 존재할 뿐이다.” (30 페이지)
딱딱하다. 특히 마지막 문장이 잘 이해가 안 된다. “한 번 일어나는 역사적 계열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법칙적 설명과 서사 사이에 오직 상대적인 구분만이 존재”한다고? “역사적 계열”이 뭔가?
원문은 다음과 같다.
“You can trace the properties of the present universe back to properties it must have had at its beginning. But you cannot show that these are the only properties that any universe might have had.... Earlier or later universes might have had entirely different laws.... To state the laws of nature is not to describe or to explain all possible histories of all possible universes. Only a relative distinction exists between law-like explanation and the narration of a one-time historical sequence.” (p. xxv)
웅거가 여기서 주장하는 바는 이렇다: 우리 우주의 법칙이 왜 이런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른 법칙이 있었을 수도 있으므로, 법칙에 따라 이렇게 우주가 진행한다고 설명하는 것과 그냥 사건의 시간적 순서를 기록하는 것(역사) 사이에는 본질적 차이가 없다. “역사적 계열”의 원문은 “historical sequence”이다. 시간 순으로 일어나는 사건들을 의미한다. 철학에 과문해서인지 모르겠지만 “역사적 계열”이라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다. 또한, “You”로 시작하는 영어적 표현을 그대로 직역한 부분이 눈에 띈다.
내 이해를 바탕으로 다음처럼 의역해 봤다.
“현재 우주의 성질로부터 초기 우주가 가졌을 성질을 우리는 유추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성질이 어느 우주나 가질 단 하나의 성질이라는 것을 보일 수는 없다.... 그 이전 또는 이후의 우주는 완전히 다른 법칙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연 법칙을 기술하는 것이, 가능한 모든 우주의 가능한 모든 역사를 서술하거나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시간 순으로 일어나는 사건들을 법칙으로 설명하는 것과 그냥 나열하는 것 사이에 질적인 차이는 없다.”
예전에는 직역이 옳다고 생각했는데, 요즘에는 원문의 맥락을 왜곡하지 않는 한에서 의역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읽고 이해하지 못하는 글보다는 당연히 이해할 수 있는 글이 더 좋다. 원문의 풍미까지 살린다면 더 바랄 나위가 없다. 참 어려운 요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