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번역에 대한 글을 많이 올린 듯싶다. 사실 이런 글들은 번역된 책을 읽다가 이해가 안 되는 일들로부터 보통 시작된다. 이런 경우 대개 원문을 찾아보고 싶어진다. 책을 도서관에서 찾을 때도 있고, 인터넷 검색을 할 때도 있으며, 내가 가지고 있으면 좋을 것 같은 책은 사기도 한다. 원문(영어)으로 된 문장을 보면 속이 시원하다. 이해 안 되는 것이 번역문의 문제인지, 내 지식의 한계 때문인지 답이 나오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경험을 토대로 얘기해 보면 십중팔구는 번역문의 문제였다. 사실 우리나라는 누구에게 잘못됐다는 지적을 하기가 어려운 사회 중 하나이다. 얼굴을 맞대고 얘기하면서 딱 떨어지게 ‘틀렸다’라는 얘기를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너무 술에 물탄 듯 하는 분위기도 있다. 하지만 잘못된 것을 지적해서 당장 고치거나, 또는 다음번에 반영해서 더 낫게 하면 사회 전체를 위해 좋을 터이다. 문제는 어떻게 지적하느냐와 어떻게 받아들이냐 하는 것이다. 정답은 없겠지만, 그냥 프로페셔널하게 하면 되지 않을까. 일하다가 이건 저렇게 하는 것이 더 좋지 않겠냐는 말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듣는 사람은 그 의견이 합리적이면 그냥 받아들이면 된다. 반대로, 생각해 보고 합리적이지 않으면 받아들이지 않으면 된다. 번역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지금껏 경험한 번역본의 유형을 써 본다. 

- 번역본인지 모르겠는 경우. 

1) 최고의 번역일 수 있다. 예전에는 직역이 좋다고 생각했는데 생각이 바뀌었다. 우리말로 자연스러운 번역이 최고이다.

2) 윤문을 기가 막히게 해서 잘 읽히지만 오역투성이인 경우도 있다. 


- 직역 때문에 자꾸 되읽어야 되는 경우. 번역을 정확히 했음에도 이런 경우가 있다. 번역가가 자연스러운 우리말에 신경 쓰지 않으면 이렇게 되기 쉽다. 


-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종종) 나오는 경우.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의 원문을 찾아보면 오역인 경우가 많다. 오역의 정도와 개수도 천차만별이다. 비교적 간단한 문장임에도 잘못 번역된 것도 있고, 역자가 배경지식을 이해하지 못해 문맥을 살리지 못한 경우도 있다. 책에서 다루는 주제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으면 올바로 번역하기 힘들 때가 많다. 


- 문맥에 맞지 않아 찾아보면 역자가 저자의 뜻을 왜곡한 경우. 왜곡이 의도적인지 몰이해로 인한 것인지는 역자만 알 것이다. 


- 번역문은 괜찮은데 용어의 선택이 이상한 경우. 각 분야마다 외국어 단어들이 어떻게 우리말로 번역되는지 통용되는 것들이 있다. 이러한 용어를 제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굉장히 이상하고, 그 분야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잘못된 지식을 주게 된다. 인명이나 지명의 우리말 표기는 어렵지만 나름 기준이 있는 듯싶다. 용어나 인명, 지명들 모두 출판계에서 통일하여 사용하면 좋겠다. 출판계 공용 용어 사전이나 인명, 지명 사전이 있으면 좋겠다.


많은 경우, 한 권의 책에 위의 유형들이 섞여있다.


전문지식이 필요한 경우에는 감수자가 있기도 한다. 하지만 감수자가 있음에도 용어 사용의 잘못이나 오역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런 건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번역은 분명히 어려운 일이다. 그 자체로 번역가의 글 솜씨를 드러내는 (문학) 작품이기도 하다. 여기에 더해 편집자의 역할도 있다. 출판계의 사정을 정확히 모르지만, 편집자란 출판하는 글을 읽어보고 ‘편집’하는, 그래서 글을 더 좋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당연히, 오타와 비문 교정에 더해 오역도 걸러내야 할 것이다. 내가 종종 이해하지 못하겠는 것은, 명백한 오역처럼 보이는 문장을 편집자들이 왜 그냥 두느냐이다. 과학서적의 경우는 과학적 지식이 있으면 잘못된 문장처럼 보이는 것들을 비교적 명확히 찾아낼 수 있다. 편집자도 물론 각자 전공 분야가 있을 것이고 모든 분야의 서적을 다 명확히 이해해 낼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본인의 전공과 관심 분야에 맞춰 분야별 전문 편집자가 책임을 가지고 책을 편집하여 출간하길 기대한다. 


번역가 이희재의 번역에 대한 두 번째 책이 출간됐다는 것을 최근 알게 됐다. 모든 주장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좋은 번역을 위한 그의 노력에 박수를 보내며 읽어보고자 한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오 2023-02-08 05:2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해가 안 될때 원문을 보고 속시원해하시는 블루님의 뇌를 갖고싶다....

blueyonder 2023-02-08 10:01   좋아요 2 | URL
기꺼이 드릴게요. 대신 미지의 가능성으로 가득 채울 수 있는 은오 님 뇌를 제게 주세요 ㅎㅎㅎ

북깨비 2023-02-08 16:0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 같은 경우에는 영어를 배우기 전에 읽었던 동화책이나 어린이 세계명작, 주니어문고 같은 것들은 (예를 들면 나니아 연대기) 나중에 원서로 읽었을 때 어린 시절 처음 접했을 당시 그 때 그 느낌이 안 나서 오역 내지 의역의 여부와 상관없이 번역본을 선호하게 되더라고요. 한국어 표현이 (특히 형용사적인 면에서) 영어에 비해 좀 더 아기자기한 맛이 있는 것 같아요.

blueyonder 2023-02-08 16:34   좋아요 2 | URL
올바로 번역된 번역서는 원서와 내용상 차이가 없어야겠지요. 저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잘 전달해야 하고요. 좋은 번역서라면 굳이 원서와 번역서를 구별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북깨비 2023-02-08 16: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 그리고 번역본 중에 독해 난이도가 가장 높은 것은 성경이 아닐까 싶습니다.. 너무 어려워서 그냥 영어로 읽어요. 😭 (히브리어는 못 읽으니까요.)

blueyonder 2023-02-08 16:40   좋아요 2 | URL
번역이 중요하다는 또 다른 예인 것 같네요. ‘현대인의 성경‘ 같은 것은 그래도 읽을 만합니다.

북깨비 2023-02-11 00:57   좋아요 1 | URL
한글성경이 너무 어려워서 English Standard Version (ESV)를 읽고 있었는데 앞으로는 현대인의 성경 (KLB)와 병행해서 읽어봐야 겠습니다. 갑자기 생각나서 찾아보니 다행히 지금 쓰는 Bible 앱에 KLB가 제공이 되는군요. 읽어보다가 괜찮으면 책으로도 한 권 사야겠어요. 추천 감사합니다. 🙂

blueyonder 2023-02-11 08:30   좋아요 1 | URL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알려주셔서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