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역학의 해석에서 실재주의(realism)과 반실재주의(anti-realism)의 대립은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다. 주류로 취급 받는 코펜하겐 해석은 반실재주의를 대표한다고 여겨지며, 아인슈타인은 이 반실재주의에 대한 반대로 끝내 양자역학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코펜하겐 해석에서는 관찰(또는 측정) 이전에 물리계의 성질이 정해지지 않으며 관찰을 해야만 정해진다고 말한다. 이 얘기는 적어도 미시세계에서는 객관적 실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하는 것처럼 보여서 반실재주의로 통칭된다. 한편 양자역학을 실재주의로 해석하고자 하는 시도도 있는데 루이 드브로이가 시작해 데이비드 봄, 그리고 최근 리 스몰린이 이어서 고민하는 향도파(pilot wave)에 기반한 해석이 그것이다[*]. 한편, 양자역학이란 순전히 '우리'가 미시 자연에 대해 '얘기할 수 있는' 것을 레시피처럼 정리한 것이라는 조작주의 해석도 있다. 이 외에도 여러 다른 해석이 있는데, 이러한 해석이 단순히 개인의 취향 문제인지 아니면 이후에 모두가 동의하는 해석이 나올지는 미지수이다.
최근 양자역학에 대한 책이 국내에 여러 권 출간되고 있는데, 전쟁사 책과 마찬가지로 용어의 혼란이 있어서 몇 마디 적는다. 위에서 언급한 'realism'을 어떻게 번역하느냐이다. 철학에서는 realism을 보통 실재주의(또는 실재론)로 번역하므로 당연히 이를 따라야 한다고 본다. 'reality'는 '실재'이고 'realist'는 '실재주의자'이다. 하지만 이를 '현실주의','현실', '현실주의자'로 번역하는 책들이 있다. 다음의 두 권이 예이다.
realism은 분야에 따라 다른 단어로 번역된다. 예술 분야에서는 보통 '사실주의'로 번역되며, 찾아보면 국제정치 분야에서 ('이상주의'에 대비된) '현실주의'로 번역됨을 알 수 있다. 양자역학에서 철학적 함의를 갖는 realism을 현실주의로 번역하는 것은 오역이라고 본다. 역자와 편집자들이 이런 것에 신경을 쓰면 좋겠다.
평소 좋아하는 노라 존스의 곡 하나를 함께 올린다. 이 노래가 실재주의, 반실재주의와 관련이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
---
[*] 여기서 '향도(嚮導)'란 길잡이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