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바꾼 17가지 방정식 - 위대한 방정식에 담긴 영감과 통찰 이언 스튜어트 3부작 3
이언 스튜어트 지음, 김지선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방정식은 수학과 과학, 그리고 기술의 혈맥이다. 방정식이 없었다면 우리가 사는 세계의 모습은 지금과는 매우 달랐을 것이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방정식을 보면 더럭 겁부터 낸다.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이 『짧고 쉽게 쓴 시간의 역사(A Brief History of Time)』를 쓸 때, 출판사에서는 방정식 하나가 더 들어갈 때마다 책의 매출이 반으로 뚝 떨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결국 E = mc^2을 싣게 해 주었지만, 그 방정식이 없었다면 아마 1000만 부는 더 팔렸을 것이라고 투덜댔다고 한다. 나는 호킹 편이다. 방정식은 뒤편으로 밀어 두기에는 너무 중요하다. 그렇지만 출판사들이 틀렸다고 할 수도 없다. 방정식은 형식적이고 근엄하다. 복잡해 보이기도 하고, 방정식을 좋아하는 사람들조차 방정식에 폭격을 당하면 흥미를 잃기도 한다. (11~12 페이지)


  방정식의 힘은 수학이라는 인간 정신의 집합적 창조와 물리적 외부 세계 사이의, 철학적으로 쉽지 않은 교신에 바탕을 둔다. 방정식은 바깥 세계에 있는 심오한 패턴들을 나타낸 모형이다. 방정식의 가치를 제대로 알고 방정식이 들려주는 이야기들을 읽는 법을 배우면, 우리 주변 세계의 중요한 특성들을 깨달을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다른 방식들로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기호보다 언어를 선호한다. 언어 역시 우리에게 주위 세계를 통제할 힘을 준다. 그렇지만 과학과 기술이 내린 결론에 따르면 언어는 애매하면서도 제한적인 면이 있어서 현실의 심오한 양상들과 소통할 수 있는 효과적 경로를 제공하지 못한다. 언어는 인간적인 가정들로 너무 많이 채색되어 있다. 언어만 가지고는 근본적인 통찰을 얻을 수 없다. (14~15 페이지)


  The power of equations lies in the philosophically difficult correspondence between mathematics, a collective creation of human minds, and an external physical reality. Equations model deep patterns in the outside world. By learning to value equations, and to read the stories they tell, we can uncover vital features of the world around us. In principle, there might be other ways to achieve the same result. Many people prefer words to symbols; language, too, gives us power over our surroundings. But the verdic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that words are too imprecise, and too limited, to provide an effective route to the deeper aspects of reality. They are too coloured by human-level assumptions. Words alone can't provide the essential insights.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lueyonder 2020-02-25 17: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 번째 인용문에 나오는 ˝교신˝의 원문 단어는 ˝correspondence˝이다. ˝교신˝이 아니라 ˝대응˝이라고 번역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