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그림책이 좋다.
좋아도 아주 좋은데,
난 아이를 임신했을때도 그림책과 만화책으로 태교를 했고, ㅋ~.
아이가 커서 성인이 된 지금도 그림책을 보는걸 즐긴다.
너무 자주 많이 들여서 창피하다 싶으면 한번씩 모아서 조카에게 보내주곤 한다.
다른 건 몰라도 그림책을 읽으면서 자란 어린이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그림책처럼 어여쁘고 고운것 같다.
이토록 어여쁜 그림책
이상희 외 지음 / 이봄 /
2016년 12월
이렇게 제목도 책표지도 이쁜 책이 '읽는약봉지'에 담겨온단다.
읽는 약봉지라는 아이디어도 그렇고,
네 명의 그림책 전문가가 권하는 '어느날 문득 어른이 된 당신께 드리는 그림책 마흔네 권'의 그림책이라는데,
완전 멋지다.
예전에 나는 김경욱의 '위험한 독서'에 나오는 '독서 치료사'를 꿈꾼 적이 있다.
어떤 책을 읽었는지를 알면 그 사람의 내면을 알 수 있다고 믿는 그 독서치료사가 완전 멋있게 여겨졌다.
그 책에서,
읽기의 의미는 단순히 ‘읽다’라는 행위에 그치지 않는다. ‘책을 읽는 것’은 인간 내면 존재를 비춰보는 일인 동시에 욕망의 심연과
마주하는 매개로서 작용한다.
라고 하고 있는데, 그럴듯 하다.
위험한 독서
김경욱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9월
한때 나는 책을 읽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책을 읽기만 하는 것으로도 그럴듯한 인간으로 '뿅~!'하고 바뀌어 있을 줄 알았는데,
그건 착각이었다.
책을 읽기만해선 안되고,
책을 읽어서 마음을 움직이고, 영혼을 흔들고, (영혼씩이나?ㅋ~.)
그렇게 받은 자극이 삶으로 연결되어야 바뀌는 것이란다.
이건 거칠게 요약해보자면 책을 읽지 않아도,
마음을 움직이거나 영혼을 흔드는 자극이 있다면 삶은 바뀌게 된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책을 읽는거 말고는 다른 방법을 모르는 난,
오늘도 책을 읽는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229/pimg_7451441771552210.png)
오늘 1일1그림은 그러니까 ,
'어떤 책을 읽었는지를 알면 그 사람의 내면을 알 수 있다'의 아류쯤이라고 해야할까,
'무엇을 보는지를 알면 그 사람의 내면을 알수 있다.'이다.
'그 사람이 먹는 것이 그 사람이다'를 넘어서,
그 사람이 읽는 것, 그 사람이 쓰는 방식, 그 사람이 그리는 것을 보면 그 사람을 더 근접하게 알 수 있게 되지 않을까?
나를 이렇게 드러내 놓고 무장해제를 하니,
그대여, 부디 내게로 와서 나를 해석해 달라.
(방점은 '해석해 달라'가 아닌 '나를'에 찍혀야 한다. 공감과 소통을 갈구하는 유약한 영혼~ㅠ.ㅠ)
아참참~, 한참 전에 받은 서니데이 님표 가방을 자랑 안했다.
나이가 들면서 웬만한 무거운 가방은 잘 들지 않게 됐다.
방수천으로 된 어깨에 매는 백팩 형태를 선호하는지라,
서니데이님표 가방을, 그동안 잊고 지냈는데,
나의 귀요미 조카에게 줄 산타선물로 구입했다.
서니데이 님은 샌스있게 조카의 취향을 저격해 이쁜 인형 고리까지 보내줬는데,
아니나 다를까, 조카는 가방에 완전 필이 꽂혀 안고 매고 난리다, ㅋ~.
우리 같은 사람들, 핸드메이드 가방 하나 만드는 것쯤은 누워서 떡먹기여야 하는데,
만드는 건 좀 쉽지만, 시간이 없어서 만들질 못 할뿐이다.
(이랗게 허풍을 떨어도 정거(증거)를 대랄 사람이 없으니 상관없으니,)
꼭 그런 사람들만 서니데이 님의 도움을 약간만 받기로 하자, ㅋ~.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229/pimg_7451441771552243.pn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1229/pimg_7451441771552268.png)
(귀요미 조카의 착용 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