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버티는 삶에 관하여 (2017 리커버 한정판 나무 에디션)
허지웅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허지웅은 자신을 '글쓰는 허지웅'이라고 소개한다는데, 난 여지껏 연예인인줄 알고 있었다.
만능엔터테이너의 느낌이 강하여,
연예인이 소신발언도 할 줄 알고 글발도 그정도면 평균 이상이라고 생각했었다.
내가 이런 허지웅에게 관심을 갖게 된건 '미운 우리 새끼'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해서 였다.
청소에 관해 결벽에 가까울 정도로 깔끔을 떠는데,
그게 내가 보기엔 상처 입을까 두려워 주변에 견고하게 벽을 쌓는 것처럼 여겨졌다.
그런 그를 두고 이러저러한 말들을 하고,
누군가는 환자 취급을 하고 정신분석을 해놓기도 했던데,
나는 그딴건 차치해 두고,
그저 그냥 어깨를 툭치거나 그러모아 다잡아주며 다독다독 해주고 싶었을 뿐이다.
그리고 이 책을 찾아 읽게 되었다.
'작가의 말' 맨처음에서,
'마음속에 오래도록 지키고 싶은 문장을 하나씩 준비해놓고 끝까지 버팁시다.' 라는 문장을 보자마자,
(왜 '호밀밭의 파수꾼'이 떠올랐는지 모르겠을 뿐이고~--;)
텔레비전에서 보여지던 것처럼 시니컬하거나 독설적이지 않은,
카멜레온의 보호색처럼 일종의 변장이고 위장일지도 모르겠다 싶었다.
꾸준히 책을 내고 텔레비전에 모습을 드러내고 하는 것 자체가 누구보다도 소통을 원하고 자신의 존재 가치를 증명해 보이고 싶어서가 아닐런지.
아버지와의 관계나 전처에 관해 언급할때, 결코 누구의 탓을 하지 않는데,
그의 그런 행동이야말로 어른스러운 것이지 싶어서 좋았다.
하지만 좋은건 좋은 것이고,
한걸음 떨어져서 관조적으로 바라보게 된다면,
심리 상담과 치료가, 적어도 마음을 소통할 수 있는 대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도 있겠다.
상처받으며 살아온 경험이 있는 사람만이,
자신의 상처를 기준으로 타인을 견주어 헤아릴 수 있게 되지만,
잘못 하면 집단적인 자기연민을 조장할 수도 있으니 조심하여야 겠다.
그걸 허지웅은 책 속에서 이렇게 얘기하고 있다.
그날 밤, 돌아오는 택시 안에서 엄마는 내게 말했다. 엄마가 맞고 있는데 욕은 못해줄망정 인사를 하고 나오냐 너는? 그때 내가 무어라고 대답했는지는 기억에 남아 있지 않다. 다만 한 가지는 확실하다. 나는 그날 이후 영영 달라졌다. 힘들 때마다 내 비굴한 웃음을 기계적으로 떠올리며, 그날의 나를 해명하기 위해 살아왔다. 그 웃음을 떠올리면 아무리 나쁜 것도 마냥 나쁘게만은 보이지 않고, 제 아무리 아름답다는 것도 마냥 아름답게는 보이지 않게 되었다. 자신이 받은 알량한 상처의 총량을 빌미로, 타인에게 가하는 상처를 아무것도 아닌 양 무마해버리는 비겁함을 쉽게 감지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는 모두 상처받으며 살아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인생이 영화나 연속극이라도 되는 양 타인과 자신의 삶을 극화하는 데 익숙한 사람들은 그 상처를 계기로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거나, 최소한 보상받으리라 상상한다. 내 상처가 이만큼 크기 때문에 나는 착한 사람이고 오해받고 있고 너희들이 내게 하는 지적은 모두 그르다, 는 생각을 하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그런 착각은 결국 응답받지 못한다. 상처는 상처고 인생은 인생이다. 상처를 과시할 필요도, 자기변명을 위한 핑곗거리로 삼을 이유도 없다. 다만 짊어질 뿐이다. 짊어지고 껴안고 공생하는 방법을 조금씩 터득할 뿐이다. 살아가는 내내 말이다. (18쪽)
이 책은 7년동안 여기저기 기고했던 글들을 묶어놓은 거라서 같은 얘기가 중복되기도 하고 글이 들쑥날쑥한 단점은 있지만, 그래도 7년이란 세월을 두고 그의 소신이랄까 생각의 큰 흐름은 늘 한결같다는 점은 높이 살만하다.
그래서일까?
그의 어떤 글들은 줄을 타는 광대의 그것을 닮았다.
아슬아슬 조마조마하지만 그것은 구경꾼들의 몫,
광대는 줄을 밟았다가 놓았다가 쪼르르 내달리고 사뿐사뿐 넘나들며 구경꾼들과 '밀.당.'을 즐긴다.
줄의 이쪽 끝에서 저쪽 끝으로 날고 뛰고 춤추다가,
땅바닥에 안전하게 착지하는 순간,
광대와 구경꾼은 하나가 되는 묘한 카타르시스와 쾌감을 경험할 수 있다는 데서 닮았다.
그의 글은 이런 식으로 시니컬 하면서도 유머러스 하고, 신랄하면서도 통렬하다, 멋지다.
그러나 그런 경우는 드물다. 여타 대개의 한국산 선후배 문화에는 장점만큼이나 나를 질식하게 만드는 냄새와 결이 있다. 선배와 후배라는 이름으로 날줄과 씨줄을 자처하지 않고서는 좀체 안도할 수 없는 병이 보인다. 나는 좀 빼주었으면 좋겠다. 한국에는 깍두기라는 훌륭한 전통이 있다.(31쪽)
'책을 읽는 삶에 관하여' 꼭지에 있는 문장들도 그렇다.
내 독서습관과 비교하게 되는 것이, 많은 것을 생각해볼 수 있었다.
잠자고 밥 벅고 화장실 가는 시간 빼고는 책만 읽던 시절이 있었다. 이제는 하루 십오 분이라도 시간을 쪼개어 읽어야 한다. 재미있는 건 하루를 아무리 바삐 보내보았자 결국 그 시간만이 온전히 남는 장사라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된다는 거다. 책을 읽지 않으면 내가 아는 것들 사이에 연결고리를 민들어내는 능력을 잃어버린다. 하이퍼링크가 없는 웹상의 DB를 상상해보라. 그건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다.
TV만 보면 테이스트가 없는 사람이 되고, 인터넷만 보면 자기가 해보지 않은 모든 것을 불편하게 여기거나 틀렸다고 말하게 되며, 경험만 많이 쌓으면 주변 세계와 격리된 꼰대가 됩니다. 종류가 무엇이든 책을 읽으세요. 가장 오랫동안 검증된 지혜입니다.(82~83쪽)
한때 책은 읽는 것이 아니라 들이고 쌓아두는 것인줄로만 알았던 적이 있다.
책을 들이면 언젠가는 저절로 읽게 될거라는 허무맹랑한 생각도 했었다.
한편으론 책을 들이고, 한편으론 전투적으로 읽는데도, 읽을 책은 줄어들지 않고 늘어만 갔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주마간산 식으로 책 한권을 뚝딱 읽어내는 것이 아니라,
행간에 머물면서 사유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생각들을 숙성이키고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걸 깨닫는 요즘이다.
그렇게 그렇게 책도 읽고, TV도 보며, 인터넷도 하고, 경험도 쌓을 때,
우리는 세상을 살아간다고 할 수 있을 것이고,
이때의 살아간다는 의미는 그저 삶이 수동적으로 살아지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생명력을 유지하며 살아가는 것을 얘기한다.
때문에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매일 그날이 그날 같은 날의 반복인 세상이 살아지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고민하고, 공감하고, 소통하는 것을 얘기한다는걸 알겠다.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 법이지만, 고인 물은 썩게 마련이다.
적당히 무게감 있는 문제 제시를 하며, 적당히 무게감 있게 씌어진 이 책을 읽은 소감을 이렇게 마무리해야 겠다.
사람의사랑이 변하듯,
7년이라는 세월동안 그의 소신이라는 것도 변해가지만,
변화보다는 뚝심에 초점이 맞춰져서 좋았다.
모두들 끝까지 같이 버티자고 말해줘서 정말 고마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