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데렐라는 재투성이다 - 발도르프 선생님이 들려주는 진짜 독일 동화 이야기 2
이양호 지음 / 글숲산책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신데렐라>, <백설공주>, <잠자는 숲속의 공주>, <인어공주>..

공주님들이 넘쳐난다.

예쁘고 상냥하고 마음씨 착한 공주와 잘생기고 착한 왕자가 만나서

오래도록 행복하게 살았다는 옛날 이야기는 정말이지 많기도 하다.

돈 많은 여자 만나서 편하게 살아보겠다는 남자들 만큼이나

백마 탄 왕자님을 만나서 팔자를 고쳐보겠다는 여자들도 많다.

작가는 신데렐라 컴플렉스 운운하며 여자들이 그런 욕망을 가지는 것이

마치 제대로 번역하지 않은 동화의 잘못인 것처럼 이야기하고 있지만

동화 속 이야기와 비슷한 실제 사건이 종종 일어날 뿐이지 ,

그런 동화를 어릴 때부터 신물 나게 읽어온 탓으로 여자들이 백마 탄 왕자를 기다리는 건 아니다.

작가도 상징을 이야기했지만 '백마 탄 왕자'는 상징일 뿐이다.

나와 취미를 공유하는 사람, 내 마음을 읽어줄 수 있는 사람,

내가 '아'라고 했을 때 '어'라고 받아칠 수 있는 사람이면 모두 백마 탄 왕자가 되는 것이다.

다른 나라 언어를 번역하는 일은 굉장히 중요하지만 '재투성이'를 신데렐라로,

결혼잔치를 무도회라고 고쳤다고 해서 이야기의 흐름이 크게 바뀌지는 않는다.

물론 서양에서 '재'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제대로 아는 일은 중요하다.

'옷'과 '결혼 잔치' '신발'이 가진 의미를 파악해보는 일도 필요하리라 본다.

하지만 우리는 동화, 아니 작가 주장대로 이야기를 읽으면서 각자 필요한 대로 해석을 한다.

의미부여를 할 수는 있지만 진짜 동화니 가짜 동화니 따질 필요가 있을까?

그냥 다른 사람의 독특한 견해를 들어본 것으로 끝내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