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심 회복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자존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수치심을 겪어낼 수 있고, 수치심이라는 동굴을 빠져나왔을 때는 더 용감하고 따뜻하고 인간관계가 돈독한 사람이 돼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치심 회복탄력성이란 수치심을 경험하면서도 진실하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어떤 행동에 대해 사과를 하고 보상을 하고 우리의 가치관에 맞지 않는 행동을 고치는 경우, 그 동력은 대개 수치심이 아닌 죄책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들은 수치심이라고 하면 굉장한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들이나 느끼는 감정이라고 믿고 싶어 한다. 하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수치심은 우리 모두가 경험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치심이 우리 마음속 가장 어두운 구석에 숨어 있다는 것도 착각이다. 수치심은 우리에게 익숙한 모든 곳에 숨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정•학교•기업에 관한 나의 연구에 따르면, 수치심 회복탄력성이 풍부한 문화 속에 있는 사람들은 뭔가를 부탁하고 받아들이고 피드백을 수용하는 일을 어려워하지 않는다. 이런 문화 속에서 사람들은 적극적인 태도로 끈기 있게 뭔가를 시도해서 원하는 결과를 얻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