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기의 힘, 듣기의 힘
다치바나 다카시.가와이 하야오.다니카와 순타로 지음, 이언숙 옮김 / 열대림 / 2007년 7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524/pimg_7399511154303373.jpg)
읽기와 듣기는 큰 차이가 있는 듯하지만 비슷하기도 합니다. 눈으로 읽는 것과 귀로 듣는 것은 분명 다릅니다. 하지만 우리는 한 사람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할 때 그 사람의 전부를 읽고 듣습니다. 가령 그 사람의 행동이나 태도, 열정 등을 읽고 듣습니다.
읽기와 듣기는 이해하는 행위입니다. 읽고, 듣기 위해서는 만남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너'를 깊이 알기 위해 '너'를 위한 시간과 공간을 마련합니다. 그것은 관심이며 열정입니다. '너'를 읽고 듣는 시간을 통해 조금 더 깊게 '너'를 만나게 됩니다.
이 책 『읽기의 힘, 듣기의 힘』은 다른 영역에서 탁월한 성취를 이룬 세 명의 강연과 대담을 엮었습니다. '읽기'와 '듣기'라는 주제 아래 융 심리학자인 '가와이 하야오', 저널리스트 '다치바나 다카시', 시인 '다니카와 슌타로'가 자신의 생각을 풀어내고 있습니다.
'가와이 하야오'는 자신의 상담 경험을 토대로 '들음'의 본질을 파악하려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는 것 같지만 실제로 온전하게 끝까지 듣지를 못합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하는 모든 말을 들어야만 합니다. 묵묵하게 듣는 행위이지만 내담자의 언어에서 그 사람의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큰 긴장과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하야오는 '읽기'의 행위도 결국 몰입하여 읽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온몸으로 듣고 읽는 자세가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태도는 표면적인 메시지 이상의 것을 받아들일 수 있게 만듭니다. 더욱 깊은 이해를 갖게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다치바나 다카시'는 80여권의 책을 써낸 '知의 거인'이라 불리는 사람입니다. 그는 다양한 분야의 글을 씁니다. 그에게 있어서 읽고 듣기는 새로운 결과물을 창작할 수 있는 필수적인 행위입니다. 그는 관련된 분야에서 100권의 책을 읽어야지만, 1권 정도의 제대로 된 글을 쓸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다카시의 경험에서 '듣기'라는 '읽기'의 연장입니다. 과학 분야의 논문일 경우 연구의 극히 일부분만 실리게 됩니다. 따라서 그 사람을 직접 만나 진행하고 있는 연구에 대해 심층적인 질문을 해야만 연구의 규모나 진행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게 됩니다.
시인인 '다니카와 순타로'는 읽기와 듣기 대한 자신의 시를 빼곡하게 실어놓았습니다. 시로 표현된 '읽음'과 '들음'은 또 다른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논리보다는 감성을 자극하지요. '책'과 '음악'에 대한 이야기는 그의 언어로 끝나지 않고 우리의 이야기로 확장됩니다. 잊어버린 책과 음악에 대한 기억을 떠오르게 합니다.
효율성을 강조하는 시대입니다. 빠르게 무엇인가 해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겠지만, 그만큼의 풍요와 깊이를 포기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읽기'와 '듣기'라는 급하게 달려갔던 우리를 잠시 멈추게 합니다. 생각하게 하고 돌아보게 하며, 기억하게 합니다.
결국 '읽음'과 '들음'은 '만남'입니다. 상대방을 이해하기 위한 최소한의 배려이자 관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혜는 갑작스럽게 주어지지 않습니다. 지혜는 오랜 시간 분투한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축적되는 것입니다. 읽고 듣는 아주 작은 행동은 이후에 우리에게 크나큰 선물을 안겨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