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는 법, 말하는 법 - 교양인을 위한 대화와 설득의 기술
모티머 J. 애들러 지음, 박다솜 옮김 / 유유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와 연결되기 위한 '나'의 노력은 오늘도 계속됩니다. 그러한 소통은 쓰기와 말하기를 통해, 다른 한편으로는 읽기와 듣기를 통해 가능합니다. 비언어적 요소들도 중요하게 작용할 때가 있지만, 결국 우리는 언어를 통해 서로의 감정과 생각을 주고받습니다.


소통의 네 가지 방법은 두 쌍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쓰기와 읽기, 말하기와 듣기입니다. 서로는 상호보완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쓰지 않으면 읽을 수 없고, 말하지 않으면 들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모든 능력은 타고나겠지만, 효과적인 교육을 통해 일정한 수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대중을 위한 인문학 교양 보급에 힘쓴 철학자인 모티머 애들러(Mortimer J. Adler). 그가 생각하는 대중의 교양은 이러한 의사소통 기술이었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독서법의 고전인 『독서의 기술』을 통해 대부분의 학교와 대학교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기초 수준 이상의 읽기 기술을 지도하고자 했습니다.


쓰기 교육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말하기와 듣기에 대한 학습과정은 거의 없습니다. 쓰기와 읽기의 기술에 비해 말하기와 듣기의 기술은 습득하기가 더욱 어렵습니다. 또한 저자의 평가에 따르면, 읽기와 쓰기의 수준이 매우 낮으며, 그보다도 말하기 수준이 못하며, 듣기 수준은 형편없다고 주장합니다.


이 책 『듣는 법, 말하는 법』이 『독서의 기술』 이후 40년이 되어서야 출간된 것은 그만큼 듣기와 말하는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어렵기도 하며, 더 이상 지체되어서는 안되겠다는 사회적인 필요에 의해서입니다. 저자는 말하기와 듣기를 세 가지 분류로 나눕니다. 즉, 일방적 말하기, 일방적 듣기, 대화입니다.


일방적 말하기는 설득 혹은 가르치는 말 하기로 광고나 강연, 강의, 설교 등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수사법이 가장 필요한 영역이죠. 저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사용합니다. 설득의 핵심 요소는 에토스와 파토스, 로고스인 것이죠. 이를 통해 각각의 요소가 어떻게 설득하는 효과를 낳는지를 설명합니다.


듣기는 그 중요성에 비해 과소평가받습니다. 그저 조용히 있으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하지만 듣기는 매우 적극적 행동입니다. 저자는 효과적인 듣기의 원칙은 효과적인 읽기의 원칙과 본질적으로 똑같다고 강조합니다. 청자나 독자는 표현되는 단어 이면의 의도와 정신에 닿으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책에서는 마지막 부분이 결론이자 핵심이죠. 이 책에서의 마지막 장은 양방향 대화입니다. 즉, 소통인 것이죠. 저자는 대화가 효율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이유를 명확하지 않은 단어 사용으로 봅니다. 누군가가 사용하는 단어가 우리의 정의와 다를 때 생기는 오해가 매우 많이 발생합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양 교육이 필수적이라고 저자는 강조합니다. 그가 오랫동안 인문학 교양 교육에 매진했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일정 수준의 교육을 통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 단어의 의미에 대해 동일한 수준의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한 사회의 대화와 소통의 수준을 극적으로 높이게 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화자나 청자 모두 대화에 집중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보통 자신에게 어떤 유익이 있을 때에만 대화에 열심을 다하는 경향을 저자는 지적합니다. 마음을 나누고 서로의 생각을 이해하려면, 단어 사용에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나의 의도가 상대방에게 닿을 수 있는 언어를 구사해야 합니다.


서로가 원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한 대화는 참으로 어렵습니다. 그런 점에서 '나'만을 위한 대화가 아니라 '너'를 품는 소통으로 발전했으면 합니다. 이 책은 그런 점에서 아주 실제적이며 구체적인 대안과 방법들을 제시해 줍니다. 이 책에서의 가르침을 조금씩만 적용해 본다면, 서로를 끌어안는 대화를 시작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