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아빠 구출 소동 ㅣ 행복한 책꽂이 28
변준희 지음, 정경아 그림 / 키다리 / 2024년 2월
평점 :
'나'만 생각하는 세상에서 '너'를 떠올리는 삶을 꿈꿉니다. 그리하여 '나'와 '너'가 '우리'가 되는 광경을요. 약하고 어리숙하고 숨기고 싶은 것이 많은 '나'입니다. 나의 부족함에 집중하면 나에게 갇힙니다. '나'를 뛰어넘어야만 '너'가 보입니다. 그제야 너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게 됩니다.
먼저 잠들고 싶을 때가 많은 요즘입니다. 갑자기 여러 역할을 동시에 해야 하니 몸에 과부하가 옵니다. 진통제를 몇 알 먹고서야 진정이 됩니다. 하지만 혼자 잠들 수는 없습니다. 아이를 재워주는 시간이 참 좋기 때문입니다. 그때 바로 '너'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입니다.
몇 분 안되는 그 순간, 조용히 속삭이는 아이의 말에 귀를 기울입니다. 함께 밥 먹을 때도, 공부를 할 때도 말하지 못했던 마음속 싶은 이야기를 할 때가 있습니다. 때로는 깜짝 놀랄만한 철학적이고 신학적인 질문을 던질 때도 있습니다. 그 공간, 그 시간이 참 좋습니다. 진짜 '너'를 만나는 시간이라서요.
변준희 작가의 글을 통해 '나'와 '너', '우리'를 만납니다. 이 책 『엄마 아빠 구출 소동』은 무려 세 가지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닮은 듯 다른 이야기입니다. 이 세 가지 이야기에서의 등장인물들은 각자의 약함과 부족함이 있지만 홀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혼자라면 힘들었겠지만, 함께라서 가능한 이야기를 만들어갑니다.
첫 번째 이야기 <엄마 아빠 구출 소동>은 비 오는 밤에 우산 없이 산책을 나간 엄마 아빠를 찾으러 가는 이야기입니다. 너무 잠이 옵니다. 시간은 늦었습니다. 늦은 시간 비 오는 거리로 나가기에는 참으로 어리기만 한 아이들 같습니다. 하지만 그런 상황과 조건들에 매이지 않습니다. 우리의 엄마와 아빠니까요.
'나'만 생각했다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엄마 아빠에 대한 걱정으로 잠은 깊게 못 잘 수 있었겠죠. 엄마 아빠는 비를 몽땅 맞고 왔거나, 비가 그치기까지 기다렸다가 왔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이야기는 만들 수가 없습니다. 상황은 마무리되었겠지만 '나'는 '나'이고 '너'는 '너'로 존재할 뿐입니다.
아이들은 '나'의 상황에 매몰되지 않습니다. '너'를 생각하고 배려할 줄 압니다. 지금 현재 '너'의 상황이 어떠할지를 곰곰하게 생각해 봅니다. 엄마 아빠를 찾아 나선다는 것은 이들에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두렵고 헷갈리고 어렵지만 '너'를 생각하여 길을 떠납니다.
두 번째 이야기 <감추고 싶은 왼손>에서는 왼손 흉터가 콤플렉스인 주인공 보리가 나옵니다. 아기일 때 생긴 화상 흉터가 부끄러운 아이. 그것을 감추고 싶은 아이입니다. 우리는 모두 감추고 싶은 비밀이 있습니다. 그것이 드러나게 된다면 부끄러움을 당하게 될 것만 같기 때문입니다.
콤플렉스는 삶의 전반을 지배합니다. 작은 흉터임에도 모든 삶을 아우를 정도로 큰 힘을 지니게 됩니다. 내 마음에서 그 흉터를 제거하지 않는 이상 우리 삶에 큰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감정이 담기지 않은 (콤플렉스에 대한) 사실만을 듣게 되더라도 나의 마음은 요동칩니다.
상처를 뛰어넘은 존재를 보게 되면 우리의 삶을 달라집니다. 상처만 바라보고 상처를 끌어안고 지내는 '나'에게 그 어려움을 넘어선 '너'가 필요합니다. 고통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의 말과 행동은 겉치레로 보입니다. 하지만 고통을 온전히 감내하고 그것을 이겨낸 사람은 내 마음 가운데 울림과 통찰을 건네줍니다.
세 번째 이야기 <'김장 전투'에서 승리하는 법>은 엄마의 몫이라고만 생각했던 김장이 얼마나 혼자 감당하기 힘든 일인지를 잘 보여줍니다. 그리하여 가족 모두가 저마다 할 수 있는 작은 몫을 했을 때, 그 일은 '너'만의 일이 아니라 '나'의 일이 되고, '우리'의 이야기가 됨을 잘 보여줍니다.
평소에 살림이나 요리를 잘 하지 않았던 아빠나 아이들이기에 '이들이 뭘 도울 수 있겠어'하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능숙한 내가 할 때보다 비효율적일 때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함께 함은 '우리'의 이야기를 만들어줍니다. '나'만의 일로 끝났을 이야기가 '우리'의 서사가 됩니다.
이 이야기에서는 독특하게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작가의 관점이 드러납니다. 작가의 전공과 관심사가 잘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전투는 싸우는 것도 있지만, 목적한 것을 이루기 위해 마음을 합친다는 뜻도 있음을 강조합니다. '나'와 '너'가 서로를 향하지 않고, 한 방향으로 힘을 합칠 때 '우리'가 됩니다.
세 편의 이야기는 성장과 성숙의 이야기입니다. 과거의 우리에 멈추어 있지 않고, 현실에 안주하지 않으며,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을 다룹니다. 완벽하게 시작하지 않더라도, 서툰 몸짓이지만 '너'를 위해 '나'를 열어줄 때, '우리'의 이야기가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