옳고 그름 - 분열과 갈등의 시대, 왜 다시 도덕인가
조슈아 그린 지음, 최호영 옮김 / 시공사 / 2017년 2월
평점 :
품절



현재의 우리 사회를 어떻게 진단할 수 있을까?

어떤 표현이 이 모든 것을 오롯이 담아낼 수 있을까?



이전에도 그래 왔지만,

'분열'이라는 단어가 많은 부분을 설명할 수 있을 듯하다.



분열을 조장하는 그룹이나 개인도 있지만,

어떤 사안은 의도치 않게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개인이든 사회든 하나를 이루기는 요원해 보인다. 

현상은 볼 수 있지만,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분열이 발생한다.



이 책의 저자인 조슈아 그린 (Joshua Greene)은

실험심리학자이자 신경과학자이며 철학자다.



저자는 우리가 직면한 중대한 도덕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사고의 틀을 제시한다.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근본적인 도덕적 문제는

나대 우리의 문제와 우리 대 그들의 문제다. 



즉 우리의 집단적인 본성은 자신이나 자신의 집단에 이익이 있는지를 우선한다.

스스로 도덕적이라고 자부하지만, 실제로 도덕에 대한 기준이 각자 다르다.



이는 곧 공유지의 비극과 상식적 도덕의 비극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의 근본적 문제의 틀에서 저마다 다양한 선택을 한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저자는 다양한 실험과 풍부한 사례를 바탕으로 천천히 결론에 도달한다.



해결의 열쇠는 감정적 사고가 아닌 이성적이고 공리적인 사고다.

저자는 이를 수동모드에 빗댄다.



물론 개인적인 문제에 있어서는 자동 설정으로 빠르게 사고함이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 대 그들의 문제에서는 천천히 더 열심히 사고할 필요가 있다.



저마다의 집단은 각자의 문화와 신념에 따라 행동한다.

그렇기 때문에 최선의 선택을 함에 있어 집단 감정을 우선하면 문제 해결은 힘들다. 



저자는 편향된 공정성을 경계하기를 촉구한다.

공정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우리에게 잘 맞는 방법을 교묘하게 밀어붙이면 곤란하다.



우리는 다름으로부터 시작하기보다 이미 합의된 공통의 전제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것은 모두가 행복하길 원한다는 사실이며, 황금률에 대한 공평성의 이상을 이해한다는 것이다.



저자의 주장을 현실 사회에 바로 적용 가능할까? 

소통이 거의 불가능한 집단이나 개인들에게 최소한의 합의조차 쉽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벌어지고 있는 많은 사회 문제들을 공리적이고 실용적이며 객관적으로 접근하면,

이러한 문제 안에 여러 도덕적 문제들이 충돌함을 볼 수 있다.



우리는 이제 숙고하고 추론해야 한다.

어떤 선택이 사회가 요구하는 도덕과 모든 구성원들의 행복에 더 가까운지 말이다.



나무들이 울창하게 우거진 어느 숲의 동쪽에는 공동 목초지에 양 떼를 풀어 기르는 양치기 부족이 살고 있었다. - P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