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 끝의 카페
존 스트레레키 지음, 고상숙 옮김 / 북레시피 / 201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615/pimg_7399511152983374.jpg)
저마다의 인생을 산다. 그래, 그저 산다.
시간의 흐름에 맡겨, 상황의 변화에 나를 던진다.
누군가의 조언을 따르거나, 사회의 압박에 눌릴 때도 있다.
대부분 잘 사는 듯하다. 하지만 정말 잘 사는 것일까?
이 책은 재차 진지하게 물어본다. "진짜 잘 살아오셨나요?"
인생의 의미에 관한 심오한 질문이다. 존재의 목적에 대한 질문이다.
쏟아지는 광고는 인간의 근원적 욕망을 부추긴다.
마치 그 제품을 구매하면, 행복하고 안전하리라는 욕구다.
정작 일시적인 만족 이후에 공허함이 밀려온다.
결국 우리 인생을 주체적으로 살기 위해서는, 우리가 왜 이 곳에 있는지 답해야 한다.
존재 목적에 대한 답을 찾았다면, 현재를 살아갈 준비가 된 것이다.
우리는 미래를 위해 산다. 노후를 준비한다. 행복을 미룬다.
지금 누릴 수 있는 것들을 포기한 채, 현재를 살아가지 못하는 것이 얼마나 안타까운가.
잘 생각해보면, 우리가 미래에 하고 싶은 것들은 소소한 행복들이다.
일에 파묻혀 살면서 가족들과의 일상은 포기하는가?
가족의 행복을 위해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을 흘려버리지는 않는가?
충만한 삶을 살고 있는지, 왜 내가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대답은 중요하다.
그러한 사람들은 열정이 있고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이 있다.
막연한 미래의 만족과 행복을 위해 달려왔던 사람들과
삶의 의미와 자신의 존재 이유에 대한 답을 알고 충만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은 다르다.
그 정열은 주위 사람에게 전달되고 함께 하고픈 마음도 들게 한다.
또한 그런 사람들은 돈에 대한 정의도 다를 것이다. 단순한 소유가 아닌 누림일 것이다.
주변의 소음, 스트레스, 사회의 인정 등에 휩쓸릴 때가 많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내 삶은 내가 선택한다는 것.
그 누구도 나의 삶을 책임지지 않는다. 많은 말은 하지만.
주체적으로 내 삶을 살아가는 사람은 두려움과 염려로 삶을 허비하지 않는다.
좁디좁은 나의 세상에서 걸어 나와, 드넓은 곳에 서있어 보자.
작고 보잘것없지만, 역설적으로 신비롭고도 아름다운 나의 존재를 발견하게 되지 않을까?
우리는 때로 전혀 예기치 못한 순간 뜻하지 않은 곳에서 새로운 사람을 만나 인생의 의미를 다시 깨닫게 될 수도 있다. - P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