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 자신이 이미 율법과 무관하게 성령을 받은 것에 대한 갈라디아 교인들의 지식에 호소한 뒤, 바울은 이제 성경을 근거로 복잡한 논증을 전개하는데, 이는 갈라디아서에 두 차례 나오는 그러한 논증 가운데 첫 번째다(4:21-5:1도 보라).

이방계 그리스도인, 아마 이스라엘의 선조나 이스라엘의 성경에 별로 친숙하지 않았을 사람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스라엘 역사의 핵심 인물에 호소한다는 점이 흥미롭다.

바울의 논증은 아브라함의 신실함에 대해 많은 후손을 주신다는 약속이 연결되는 본문인 창세기 15:6을 인용하며 시작된다. 바울의 논증에 결정적으로 중요하게도, 창세기 15:6은 할례를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바울은 3:7에서 자신이 제시할 핵심으로 곧바로 이동한다. 곧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믿는 사람들은 이미(율법과 무관하게) 아브라함의 자손이라는 주장이다.

12:3을 약간 수정하여 아주 심오한 의미를 이끌어 낸다. 바울은 창세기 12:3에서 모든 "족속"이 복을 얻을 것이라고 기록된 곳을 "민족" 혹은 "이방인"으로 번역되는 헬라어 단어로 대체한다.

갈라디아서 3:8을 비롯한 여러 곳에서 나타나는 성경의 의인화(성경이 "미리 알고", "전하다")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3:22; 4:30을 보라). 이런 의인화는 지혜를 여성으로 의인화한 유대교 저작에서 이미 볼 수 있다(욥 28장; 잠 1, 8, 9장; 집회서 24장; 솔로몬의 지혜 7:7-9:18)

바울의 사고에서, 성경은 독자들이 원리와 명령을 검색하는 수동적 저장소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진 하나님의 행동을 해석하는 능동적 파트너다(참고. 롬 15:4). 이 경우에, 성경은 하나님이 언제나 복음을 통해 이방인에게 복을 주시려고 의도하셨음을 입증한다.

3:8의 "믿음으로 말미암아"(by faith)라는 표현은 모호하다[마찬가지로, 14절의 "믿음으로 말미암아"(through faith)를 보라]. 이 표현은 복음에 대한 이방인들의 믿음의 중요성을 배제하지 않지만, 예수님의 신실하심도 다시 언급한다. 최초의 중요한 행동은 사랑에서 우러나온 예수님의 신실한 순종이다.

예수님의 신실하심을 예고하고 아브라함의 후손에 관한 복을 보장하는 아브라함의 신실함과 대조적으로, 율법은 저주만 보장한다(3:10-14). 여기서 바울은 서로 다른 몇몇 본문을 근거로, 아브라함의 백성에 들어가기 위해 갈라디아 교인들이 율법을 준수해야 한다는 교사들의 가르침에 담긴 심각한 오류를 입증한다

3:11-12은 다른 논점을 제시한다. 쟁점은 사람이 율법을 전부 순종할 수 있느냐 여부가 아니라, 율법과 믿음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배타성이다.

먼저, 3:11에서 인용한 하박국 2:4b은 믿음이 의에 기여한다는 주장에 일조한다(참고. 롬 1:17). 그 뒤에 인용한 레위기 18:5은 율법을 행하는 자는 율법 안에서 살아야 하고, 그렇다면 그 함의상 다른 곳에서 살 수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믿음과 율법을 분리한다.

바울은 이 본문을 그리스도에게 적용하면서 하나님의 저주가 아니라 "율법의 저주"라고 조심스럽게 말하면서, 그리스도께서 죽으신 방식이 그분을 저주받은 사람이 되게 했고, 그로써 그분이 율법의 저주를 제거하실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물론 바울은 율법의 저주에 관한 이런 진술을 유대교의 율법 준수를 받아들이지 말도록 갈라디아 신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전략으로 삼는다. 하지만 이런 진술은 예수님의 죽음에 관한 초기 기독교의 해석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와도 연관된다.

바울은 예수님의 죽음이라는 수치를 묻어 두려 하지 않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받아들인다.

바울의 해석에 따르면, 십자가 자체가 하나님의 구속을 드러낸다.

3:14은 이방인들에 관한, 그리고 그들과 아브라함의 관계에 관한 질문으로 돌아온다. 그리스도의 구속은 율법 아래 있는 이들을 넘어서 이방인들까지도 포함했다.

아브라함을 통해 이방인들에게 복을 주겠다는 약속이 이제 성취되었고, 갈라디아 교인들 가운데 나타난 성령의 활동은 이들이 "아브라함의 복"을 받았다는 증거다.

3:15-18은 율법 준수를 반박하는 논증을 강화하면서, 율법은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이후에야 주어졌고, 이 약속은 한 명의 자손, 그리스도와 관련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바울은 유언장을 작성하는 관행을 근거로 제시하면서 논증을 시작한다(15절). 17절에서 바울은 유언뿐 아니라 언약으로도 번역될 수 있는 헬라어 단어를 사용하여 논증을 펼친다

유언이나 언약은 한 번 작성하면 변경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수백 년 뒤에 모세에게 주신 율법 때문에 아브라함에게 주신 약속이 파기될 수 없다. 다시 말해, 율법도 인정하듯이, 모세 율법보다 아브라함에게 주신 약속에 우선권이 있다.

바울은 약속의 우선권을 확립한 뒤에 이 약속이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에게만 주어졌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사용한 헬라어 명사는 집합 명사(문자적으로 ‘씨’)이지만, 바울은 전통적 주해 관행을 따라서 이것이 단수의 의미라고 주장한다

즉 ‘여러 씨’가 아니라 한 ‘씨’만 존재하고, 그 한 씨는 그리스도시다

물론 바울은 이 대목에서 명확한 논리적 결론을 제시하지 않지만(3:29을 보라), 그 함의는 분명하다

갈라디아인들에게 강요하는 교사들의 주장과 달리, 우리는 율법 준수가 아니라 오직 그리스도와 연결됨으로만 아브라함의 자녀가 된다.

이 논증은 하나님이 항상 이방인의 구원을 계획하셨고 이방인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에 율법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아브라함이란 인물에서 시작한다.

아마 바울이 이렇게 하는 이유는, 이미 교사들이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아브라함에 대해, 특히 할례를 바라신 하나님의 요구를 받아들인 아브라함의 순종과 아브라함의 후손에게 복을 주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에 대해 가르쳤음을 알았기 때문일 것이다(유대인들이 아브라함을 언급한 언급은 창 26:5; 집회서 44:20-21; 마카베오1서 2:52을 보라; 참고. 약 2:23).

갈라디아인들에게 강요하는 교사들의 주장과 달리, 우리는 율법 준수가 아니라 오직 그리스도와 연결됨으로만 아브라함의 자녀가 된다.

율법을 통해 구원이 일어나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 아니었다면, 대체 율법은 어떤 목적을 위한 것인가? 바울은 로마서 7장에서 동일한 질문을 다루는데, 거기서 바울은 율법이 거룩하고 의롭고 선하다고 주장한다(7:12).

갈라디아서 저변의 정황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그러한 지지는 허용되지 않고, 율법의 역할에 대한 바울의 묘사는 놀랄 만큼 부정적이다.

3:19b은 율법의 목적에 관한 질문에 바울이 내놓을 대답을 소개한다. 율법은 인류를 죄에서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임시 수단이었다

3:21은 율법의 지위 문제로 돌아가서, 율법의 목적에 관한 질문에 부정적 대답을 제시한다. 즉 율법이 의를 낳도록 의도되었던 적은 한 번도 없다

반면에 약속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예수 그리스도의] 믿음"에 근거한다. 가두어 두는 "성경"은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뜻을 가리킬 것이고, 그래서 이 구절은 로마서 11:32과 아주 유사하다

율법의 임시 역할을 보여 주는 색다르면서도 훨씬 생생한 표현이 3:23-25에 나온다. 여기서 바울은 주어를 일인칭 복수로 전환하여, 특별히 이스라엘과 율법의 관계에 대해 얘기한다.

율법은 "우리"의 초등교사, 헬라어로는 ‘파이다고고스’(paidag?gos) 혹은 아이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학교까지 데려가고 데려오는 책임을 맡은 종이다. 그런 인물은 제한된 기간에만 필요했고, 어린 학생이 성년이 된 뒤에는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바울이 이 유비를 끝까지 밀고 나가지 않는다는 사실이 매우 중요하다. 다시 말해, 바울은 이스라엘이 성년이 되었기 때문에 율법에서 해방되었다고 말하지 않는다.

대신 "믿음이 오기 전"(3:23)과 "믿음이 온 후"를 대조한다.

헬라어로 ‘믿음’에는 정관사가 들어 있다. 이 믿음은 아브라함과 아브라함의 씨에 대한 약속이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서 신실하게 성취되었다는 의미에서 "그 믿음"(the faith)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