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 생활 로봇이 자율적으로 이동하며 음식뿐 아니라 가사일도 도울 수 있는 미래가 이미 가까이 다가왔다. - P198

집에서 가사일 도와주던 사람의 역할이 줄어들면 소위 ‘주방이모‘들의 일자리도 위기가 될 수밖에 없다. - P198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치던 택배 배송 기사, 음식 배달원, 서빙하는 접객원, 가사도우미 등의 일자리 위기는 가혹하지만, 기업들의 방향은 이미 그렇게 가고 있다. 언컨택트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인 셈이다. - P198

집단주의적 문화가 퇴조하고 개인주의적 문화가 부상했다. 이런 시대 우리가 느슨한 연대를 얘기하는 것은 변화된 욕망 때문이다. - P240

혼자 사는 시대라서 오히려 새로운 연대가 필요해진 것이다. - P240

고롭되고 외롭고 싶은 게 아니라, 혼자 사는 것을 기본으로 두고 필요시 사람들과 적당히 어울리고 싶은 것이다. - P240

혼자와 함께의 중간지점, 즉 혼자지만 가끔 함께가 되는, 서로 연결되긴 했지만 끈끈하진 않은 느슨한 연대인 것이다. - P240

그동안의 역사가 오프라인에서의 연결과 교류를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인류를 진화시켜왔다면, 이젠 온라인에서의 연결과 교류를 오프라인과 병행시키는 방향으로 진화되고 있다. - P263

언컨택트는 단절이 아니라 컨택트 시대의 진화인 것이다. - P263

우리가 더 안전하고, 더 편리하고, 더 효율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 사람이 직접 대면하지 않아도 연결과 교류가 되는 언컨택트 기술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 P263

결국 언컨택트 사회가 되어도 우리의 공동체는 유효하다. 우리가 사회적 동물이란 것도 유효하다. - P263

다만 사회적 관계를 맺고 교류하고 연결되는 방식에서 비대면 비접촉이 늘어나고, 사람 대신 로봇이나 IT 기술이 사람의 자리를 일부 채울 수 있다. - P263

우린 혼자서 살 수는 없다. 다만 공동체의 연결과 교류 방식에서 폐해를 걷어내는 과정이 나타날 것이다. - P263

사람이 싫은 게 아니라, 집단 자체가 싫은 게 아니라, 그 속에서 개인의 욕망과 탐욕 때문에 부당하고 불합리한 일이 생기는 게 싫을 뿐이다. - P263

이것이 싫다고 집단을 거부하고 고립화를 자처했던 이들도 있었지만, 언컨택트 사회가 투명성을 높이면 이 문제도 해소될 여지가 생긴다. - P263

자신이 하는 부당함을 남이 알지 못할 수 있고, 권력의 힘을 맘껏 휘둘러도 견제가 제한적이던 시대에서 저질렀던 문제가, 투명성과 수평화가 강화되는 시대에서도 그대로 지속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 P263

언컨택트 사회는 예고된 미래였지만, 코로나19의 갑작스런 등장으로전환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졌다. - P299

준비도 안 된 상황에서 언컨택트 환경을 도입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런 상황이 언컨택트가 가진 문제를 급격히 노출시키는 계기도 되고 있다. - P299

인간 소외와 새로운 갈등, 새로운 차별과 새로운 위험성, 결국 코로나 19가 종식되면 우리 사회는 언컨택트 사회에 대한 본격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 - P299

어차피 가야 할 길이었는데 그시기가 당겨지고 속도가 빨라졌다. 이미 시작된 언컨택트 사회, 우린 그속에서 계속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야 한다. 이제 시작이니까. - P2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