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빈이의 크리스마스 선물로 공주풍 드레스를 골랐다. 처음엔 백설공주 드레스를 골라서 산타 할아버지께 "하버지, 백설공주 드레스 주세요~"했다. 그런데 어제 백설공주 드레스보다 훨씬 저렴한 황금빛 드레스를 인터넷 쇼핑몰에서 찾아 보여줬더니 그걸로 바꾸고 싶단다. 오~ 땡큐. 무려 2만원 이상 싸다.
요즘 장난감이 너무 비싸고, 비싼데도 막상 뜯어보면 부실하고, 아이는 금세 싫증을 내기 마련이어서 늘 생일이나 크리스마스나 어린이날 즈음이 되면 은근히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번에 좀 허접하긴 하지만 유빈이의 공주 욕구를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드레스를 주문하고 나니까 장난감보다는 마음이 개운하다. 앞으로 때마다 주욱 드레스를 선물할까, 하는 생각도... 정리하기 좋고, 장남감보다 오래 갖고 놀 것 같고, 가격도 장난감이랑 크게 차이나지 않고.. 특히 이번에 주문한 드레스는 2만원이 살짝 안 되는 착한 가격이다. 공주병 증세가 사라질 때까지 드레스 구매를 쭈욱 이어갈까..^^

아침에 일어나 거실로 나왔는데 재채기 폭발! 비염 발작이다. 좀 괜찮아진 것 같아서 약을 3일 정도 안 먹었더니 코가 미,쳤,다. 눈도 가렵고 귓속도 가렵고, 재채기 연발에 콧물은... 아침부터 휴지를 끌어안고 정신을 못차리고 있었다. 어제 끓여둔 사골국에 김치 하나 내놓고 아침식사를 겨우 해결하고 약을 먹고 나니 좀 나아졌다. 비염은 고칠 수가 없다지만 뭐, 좋은 방법 없을까. 주로 아침에 일어났을 때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데 부엌에서 식사준비를 하면서 중간중간 코 풀고 손 씻고... 귀찮고 짜증난다.
명보는 아침에 요리학교로 요리 배우러 다녀왔다. 오늘의 메뉴는 우동과 돌솥알밥. 집에 돌아와서는 돌솥과 재료만 있으면 자기가 돌솥알밥을 만들어 주겠단다. 돌솥 안을 참기름으로 골고루 발라준 다음 밥을 넣고 단무지, 오이, 김치, 당근을 다져넣고 위에 날치알과 김가루, 무순을 올린다음 약한 불로 2분만 데워주면 끝이라나? 돌솥알밥이 그렇게 쉬운 요리였단 말이야? 알고 보니 시시하구나. 조리과정은 생각하지 않고 돌솥의 분위기와 알록달록 빛깔 고운 고명들에 눈이 멀어 돌솥알밥을 적당히 괜찮은 요리로 착각하고 있었던 것 같다. 그래도 우리가족이 즐겨 찾는 삼성동의 '고운님'이라는 음식점은 용서해주기로 했다. 나오는 반찬이 깔끔하고 정갈한 데다가 사장님도 무척 친절하시고, 돌솥밥도 '영양'돌솥밥으로 맛이 아주 좋다. (갑자기 웬 음식점 홍보??) 시험이 끝나고 나면 아들한테 돌솥알밥 해달라고 하자고 냄푠이랑 굳게 약속했다. 명보는 다음 놀토엔 마들렌을 만든다며 유진에게 같이 가자고 꼬시는 중이다. 아마도 마들렌을 만들 땐 집에 좀 싸오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예전에 머핀을 만든 적이 있는데, 무려 20개도 넘게 싸와서 이웃들과도 나눠 먹었던 즐거운 기억이 있기 때문이다. 제발, 마들렌도 잔뜩 싸오기를!
도서관 책고르미 엄마들이 올 한 해동안 했던 작업들이 작은 책으로 꾸려졌다. '책'이라기 보다는 '문집'(문집도 책은 책이지만)에 가깝다. 내 글로는 페이퍼에도 올렸었던 '공주'를 주제로 한 책들과 '아빠'에 관한 책들, 명보가 보았던 만화책들, 그리고 내가 반한 그림책들로 네 편이 실렸다. 막상 '책'의 모양을 갖추고 나온 것을 보니 좀 더 잘 할걸, 좀 더 열심히 할걸, 하는 아쉬움이 짙다. 아직 내공을 갖추지도 못했는데 게다가 경험도 없었으니 이 만큼 나온 것만도 기적이라는 생각도 들지만. 사실 도서관 관장님과 선생님들이 열심히 밀고 끌어주지 않았다면 이마저도 못했을 거다. 내년엔 또 어떤 작업을 이어가게 될지, 머리를 맞대고 고민 좀 해보자는데...겁이 좀 난다.
12월 23일, 조니 뎁, 히스 레저, 주드 로가 나오는 <파르나서스 박사의 상상극장>이라는 영화가 개봉된다. (캐스팅이 장난이 아니구나..) 큰딸과 나는 '저 영화 꼭 보러가자'고 굳게 맹세했다. <스위니 토드>는 큰딸이 볼 나이가 안돼서 냄푠과 갔었는데, 이번엔 같이 갈 수 있을까? (큰딸과 나는 조니뎁을 같이 좋아한다) 시험도 끝나고 방학도 다가오는 시기이니만큼 아마 친구들과 보러 갈 확률이 99%. 그럼 난 냄푠과 보러가야지.

주말엔 아이들 교복, 셔츠, 체육복 등등을 빨래하는 게 일이다. 교복자켓은 홈드라이를 하고, 스커트와 바지, 조끼는 울빨래를 하고, 셔츠는 솔로 깃과 소매끝을 빡빡 문질러서 손빨래를 한다. 체육복은 세탁기에 돌리고... 그나마 큰딸 학교가 실내화를 쓰지 않고, 아들 학교는 삼선슬리퍼로 실내화를 대신하니 다행이지, 안그랬으면 실내화까지 빨아대느라 정신이 없었을 거다. 아이들 도시락을 싸주거나 교복을 빨아 다리거나 할 때 엄마 생각이 난다. 내가 고등학생일 때 엄마는 새벽에 일어나 도시락을 두 개씩 싸야했고, 교복은 물론 운동화와 실내화도 빨아야 했다. 그 때는 세탁기도 전자동이 아니었는데 말이다. 한쪽엔 세탁기가 다른 한쪽엔 탈수기가 따로 있었던 '백조 세탁기'였다. 결혼해서 자식을 키워봐야 부모마음 안다는 말은 정말 맞는 말이다. 주말에 아이들 교복을 빨 때마다 우리 엄마 생각이 난다.
*** 오늘 점심 설거지는 명보가, 저녁 설거지는 유진이가 해줬다. 남편은 커피를 타줬다. 아침에 비염만 빼면 흔치 않은 운수 좋은 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