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원한 유산
심윤경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1월
평점 :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아빠가 예전에 심윤경 님의
<설이>라는 책을 재미있게 읽었어. 그래서
우연히 인터넷서점에 이번에 읽은 <영원한 유산>이라는
책이 눈에 띄었단다. 지은이가 심윤경 님이었거든. <설이>를 괜찮게 읽어서 한 번 읽어보기로 했단다.
이 소설을 읽기 시작할 때는 소설의 주 무대인 유엔 한국통일부흥위원회(UN Commission for the Unification and Rehabilitation of Korea)줄여서
언커크(UNCURK)란 조직이 지은이가 허구로 만들어낸 조직인 줄 알았는데, 실제로 존재했던 조직이라고 하더구나. 그리고 그 조직의 본부로 쓰인
곳이 실제로 친일파 윤덕영의 벽수산장이라는 적산가옥이었다고 해. 그러니까 실제 있었던 장소를 모티브로
삼은 소설이라고 하더구나.
어떻게 그런 소설을 만들 수 있었냐면, 지은이가 어렸을 할머니와 찍은 사진 한 장 뒤로 낯선 유럽식 뾰족탑이 있었다는 거야. 그 사진은 책 뒤편 ‘작가의 말’에
실려 있어서 볼 수 있단다. 사진으로 봐도 개인의 집이었다고 생각하기에는 엄청나게 큰 집처럼 보였단다. 낮은 집들 사이에 높고 뾰족한 건물이 이국적이었어. 지은이의 그
건축물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한 것이 바로 이 소설이란다. 그 언커크 본부를 둘러싼 지은이의 상상력으로
만들어낸 이야기를 간단히 줄여서 이야기를 해볼게.
1.
주인공은 윤원섭이라고 하는 여자란다. 벽수산장의 주인이었던 윤덕영의 막내딸이야.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윤덕영은 실존했던 인물이라고 했잖아. 그런데 윤원섭은 가상의 인물이니,
참고하렴. 때는 1966년 사기죄로 서대문 형무소에
있던 윤원섭을 출소하게 된단다. 윤원섭은 감옥에 있으면서 유엔 한국통일부흥위원회, 줄여서 언커크의 대표에게 편지를 보냈어. 당시 대표는 호주 사람
데이비드 애커넌이라는 사람이야. 편지를 보낸 이유는 그 집, 그러니까
언커크의 본부 때문에 방문 좀 해보고 싶다고 했어.
그래서 애커넌은 원섭이 출소하는 날에 맞춰 언커크에서 통역으로
일하는 이해동과 윤덕영이 살 때 머슴으로 있다가 지금은 언커크에서 잡일을 하는 공팔묵을 서대문형무소에 보냈단다.
원섭은 키가 훤칠하고 신세대 감각을 자신 여자였단다. 나이는 40대 후반이었지만, 잘 꾸미면 그것보다 훨씬 어리게 보였단다. 원섭은 언커크 본부, 그러니까 자신의 옛집에 왔단다. 애커넌과 이야기를 나눴는데, 원섭은 자신의 아버지는 친일파가 아니고
나라를 위해 애쓴 사람으로 설명했어. 집안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한 사람이었어. 하지만 진실은 골수 친일파였을 뿐.
그리고 아무도 모르고 있는 비밀통로와 비밀 공간인 다락방의
존재를 알려주었지. 그것을 무척 신기해하는 애커넌… 말도
잘 하고 외모도 뛰어난 원섭에게 애커넌이 관심을 갖게 되었단다. 더욱이 애커넌은 아내와 사별하고 혼자였거든. 애커넌은 원섭에게 당분간 언커크에서 같이 일을 하자고 했단다. 언커크에
대한 홍보동영상을 만들자는 제안을 했고, 원섭도 하겠다고 하면서 자신은 비밀공간이었던 다락방에서 일하겠다고
했단다.
통역사 해동이 보기에는 원섭을 못마땅하게 생각했어. 골수 친일파의 딸이었으니까 말이야. 그럼에도 잘못을 반성은 하지
않고, 자기의 아버지는 친일파는 아니고 나라를 애쓴 사람이라고 당당히 이야기하니 말이야. 그걸 언커크 사람들한테 통역해주어야 하는 이고 자신이니 더 기분이 나빴지. 해동의
아버지가 독립운동을 하다가 감옥에 투옥되고, 출소한 뒤 감옥에서 얻은 병으로 돌아가셨으니 더욱 원섭을
미워했어. 해동은 엄마도 일찍 돌아가셔서 고모가 보살펴 주다가 미국인 선교사에게 맡겨져 자랐어. 그래서 영어를 잘하게 되고 통역으로 일하게 된 것이고 말이야.
2.
원섭이 애커넌과 친해지면서 아니 애커넌을 조종을 해서 그런지, 원섭이 원하는 대로 언커크를 옛 벽수산장 시절의 모습으로 복원하는 사업을 하게 되었어.. 그것을 주도하는 것은 원섭이고, 애커넌은 이해동에게 그 일을 도와주라고
했어. 친일파의 집을 복원하는 일을 돕는다는 것이 마음에 걸렸어. 결국
해동은 갈등을 하다가 이 안정된 직장을 그만두었단다. 고모가 소개시켜준 손진형이라는 아가씨와 결혼을
전제로 만나고 있었는데 말이야.
…
해동은 언커크를 그만두고 새로운 직장을 알아보던 와중에, 언커크 건물에 화재가 났다는 뉴스를 듣게 되었어. 해동은 자신도
모르고 언커크로 달려 갔단다. 아, 그 건물이 화재로 폐허가
되어 버렸어. 그곳에 원섭도 있었는데, 원섭은 여전히 당당했어. 그러면서 더 제대로 복원을 할 수 있겠다고 했어. 해동을 본 원섭에게
해동에게도 도와달라고 했지만, 해동은 거절하고 그 자리를 떠났단다.
…
그렇게 소설은 끝이 났어. ‘작가의
말’에서 보니 실제로 언커크 본부는 1973년 화재로 불타고
철거되었다고 하더구나. 사진 속 뾰족 건물에서 시작한 소설이긴 한데,
좀더 박진감 넘치고 좀더 흥미진진한 이야깃살을 붙였으면 좋았겠다 하는 생각이 들었단다. 그게
아니면 원섭의 벽수산장에서 살던 옛이야기라든가, 애커넌의 이전 이야기라도 더 살을 붙였으면 좋았겠다
싶었어.
오늘은 짧게 여기까지~~
PS:
책의 첫 문장: 1966년이 시작된 지 며칠 안 된 한겨울, 그들은 서대문형무소
앞에 서 있었다.
책의 끝 문장: 해동은 언커크 언덕을 내려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