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수를 같이 건넌 친구와 이렇게 아름다운 추억이 있어 더 핀란드에 가고 싶었을 거 같다.
나라도 다시 가고 싶었을 거다!
가슴이 간지럽고 몽글몽글해지는 ... 젊음의 싱그러움으로 빛나던 시간들...!

아... 너무 좋다!

어느 겨울날, 이 호수를 걸어서 횡단한 적도 있었다.
예진이와 서로 만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였다. 어딘가에 가기 위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걸어서 호수를건너는 것이 목적이었다. 누가 먼저 그러자고 했는지대체 왜 그러기로 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그냥 그렇게 해보고 싶었던 마음만 어렴풋이 기억날 뿐. - P158

아마도 1월이었을 것이다.
호수를 건넜던 그날도 해가 거의 뜨지 않는 나날 중 하나였다. 간밤에 새로이 내린 눈이 켜켜이 쌓여 
꽁꽁 얼어붙은 호수를 비밀스러운 눈부심으로
가려주고 있었다. 해가 뜨지 않은 하늘은 군청에서 연보라를 거쳐형광 핑크색으로 이어지는 그러데이션이었다. 뾰족뾰족한 침엽수 모양의 산그림자가 오묘한 그러데이션의 하늘과 눈 덮인 호수의 경계를 만들어주고 있었다. - P158

그 아래에서 우리는 방수 부츠를 신고, 내복에 스웨터를 몇 겹이나 껴입고, 스키복과 패딩을 차례로 덧입고, 털모자와 장갑을 단단히 착용하고, 목도리를 코끝까지 칭칭 두른 채로 언 호수 위를 냅다 걷기 시작했다. 발을 내디딜 때마다 아무도 밟지 않은 보송하고 새하얀 눈더미에 다리가 무릎까지 푹푹 빠졌다. - P159

얼마간 걸었을 때, 마침내 우리는 호수 가운데에 있던 그 정체 모를 쇠기둥을 마주할 수 있었다. 높낮이가 조금씩 다른 가느다란 쇠기둥에는 각각마다 뾰족하고 예리한 삼각형이 대칭으로 달려 있었고 그 높이와 위치가 기둥마다 미묘하게 다 달랐다. 그 간단한 대칭의 삼각형을 아래에서 올려다보자마자 알아차렸다.
아, 이건 새다! - P159

왜 그동안 몰랐는지 의아한 일이었다. 호수가 호수인걸 몰랐던 것처럼. 국기 게양대인 줄 알았던 그 가느다란 기둥들은 새를 테마로 한 조각품이었다. 삼각형 한쌍은 분명 새의 날개처럼 보였다. 조금 떨어져 전체를 조망하면 한 마리의 새가 아래위로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궤적을 따라 그린 것도 같았다. 시간이 지나 호수가 녹고 나자 호수에 거울처럼 비친 모습 때문에 새떼들이 V 자 대형으로 날아가는 장면으로 보이기도 했다. - P159

그날 예진이와 나는 호수 위 눈밭을 한참이나 걸었다. 그리고 마침내 우리가 호수의 끝이라고 생각했던그 나무 그림자까지 도달했다. 사실 그건 호수의 끝이아니라 호수 속 거대한 섬일 뿐이었지만, 호수는 얼기설기 엮인 그물처럼 여러 섬을 사이에 두고 한참이나더 연장되고 연결되어 있어서 실제 호수의 극히 일부귀퉁이만 건넌 셈이었지만, 그래도 우리는 그곳에 닿았을 때 다시 뭍으로 돌아가야 할 시간이라고 느꼈다.
부츠는 이미 푹 젖어 더 걷다간 동상에 걸릴지도 몰랐지만, 몇 번은 미끄러져 온몸을 수영하듯 눈 속에 담그게 되었지만, 우리는 그때마다 웃느라 정신이 없었다. - P160

다시 뭍으로, 학생회관 앞 잔디밭으로 도착했을 때,
우리는 뒤돌아 우리가 걸어온 눈밭 위 발자국들을 바라보았다.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우리는 본능적으로 알았고, 아마도 그래서 호수를 건너고 싶었던 건지도 모른다. 지금이 아니면 바로 여기 이곳에, 이 드넓은 지구위에서도 바로 이 특정한 위치에 존재할 수 없을 거라는 사실을. 시간이 조금만 지나도 저곳은 녹아버리고 말 거라는 사실을. 그래서 지금만이 이곳에 이렇게 발을 디디고 서 있을 수 있는 유일한 기회라는 사실을. - P1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