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화를 그리는 화가
아르투로 페레스 레베르테 지음, 김수진 옮김 / 시공사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스페인의 움베르코 에코라 불리는 아르투로 페레즈 레베르테!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과는 인연이 없었지만...

작가의 소설로 처음 읽었던 <뒤마클럽>에 완전 빠진 이후 <플랑드르 거장의 그림>, <남부의 여왕>을 잇달아 읽었고

지난달에 <검의 대가>를 읽었다. 이번이 다섯 번째 읽는 작품이다.


지중해 연안의 작은 마을의 한 망루에서 그림을 그리고 있는 안드레스 파울케스는 젊은 시절 전쟁의 참상을 알리는 사진을 찍는 사진 작가였지만 사진이 더 이상 현실의 참상을 고발하지 못하고 사진으로 인해 현실이 작위적이 되고 진실을 제대로 알려주지 못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런 이유로 사진 찍기를 거부하고 어린 시절부터의 꿈이었던 화가로서의 생활을 시작한다.

금이 가고 곧 무너질지도 모를 망루 안에서 몇 년 간 준비한 전쟁화를 그리며 인간의 삶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 곳에 어느 날 한 남자가 찾아온다.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가 전쟁 중일 때 파출케스는 적을 피해 피신하는 크로아티아 민병대원의 얼굴을 찍은 적이 있는데 

그 사진으로 파울케스는 유럽포커스상을 수상하지만 그 병사는 그 사진으로 인하여 아내와 아들이 끔찍한 죽임을 당하고 자신은 가혹한 포로 생활을 경험하게 된다. 병사는 이제 자신의 모든 불행의 원인이라고 생각한 파울케스를 죽이기로 했다고 말한다.

파울케스는 전쟁화를 그리며 인류의 모든 면면들을 용해시키려 노력하게 되었다고 말하고 나비효과로 인한 결과에 죗값을 물을 수는 없다고 말한다. 병사는 세상은 보이지 않는 그물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모든 일에는 결과가 있으니 그 어떤 행위도

무죄일 수는 없다고 말한다.


과연 여기서 누구의 말이 옳다 그르다 명확하게 결론지어 판단할 수 있을까?

소설을 통해 작가는 인간이 혼돈 속에 처해 있을 때 얼마나 잔혹해질수 있는지, 또 공포에 대해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 - 두려움을 표출하며 어찌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 반문하거나 아니면 말도 안된다며 돌아서 잊어버리고 마는 경우 등 - 다시 우리 자신을 돌아보게 만든다.

전쟁이 만든 혼돈조차도 나름의 질서로 규정하고 자연이 주는 공포가 우리가 감지하지 못할 뿐 일상적 현실 속에 내재되어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작가는 "자연은 본성 자체가 악하므로 우리가 그것을 두고 선이네 악이네 함부로 판단할 수 없으며 우리를 둘러싼 악이 있다면 그건 바로 우리 자신일 뿐"이라고 강변한다.


소설의 결론은...

카론에게 던질 동전을 혀 밑에 넣고 햇살이 비치는 바닷 속으로, 통증을 참으며 오로지 팔을 저어 헤엄쳐 가는 파울케스의 모습이 그려질 뿐이다.

그리고... 다시 일방적으로 휴전을 거부하고 팔레스타인 민간인 지역에 공습을 감행한 이스라엘과 본격 휴전 협상이 시작되기 전에 조금이라도 더 우크라이나의 영토를 차지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러시아에 대한 뉴스를 접하면서 작가의 강변을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 우리를 둘러싼 악이 있다면 그건 바로 우리 자신일 뿐"이라는 말. 하지만 전쟁은 하루 빨리 종식되기를 간절히 기원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